전략게시판

전략게시판 [리뉴얼이전글]
시나리오 모드 하수와 고수의 차이
2017.08.21 05:04 조회 : 3088
Lv. 19Evacuate 가입된 패밀리가 없습니다. 작성자 게시물 더보기
본캐로 여태껏 해본 경험을 토대로 적습니다.
(지금 적는건 부계정)


1. 있느냐 없느냐 차이가 큰 무기 정도는 인벤토리에 있다.

이런 차이가 매우 큰 무기라 하는건. 보스딜이나 잡몹 처리나 견재능력이 매우 뛰어난 무기를 말한다.
이런 무기가 없으면 줏어쓰더라도 꼭 가지는게 좋겠지만, 아쉽게도 그 중에는 줏을 수 없는 근접무기도 들어간다.
인벤토리에 있다는 것은 얼마든지 상점에 있으면 그 무기를 구할 수 있다는 의미다.

  1) 딜 : 적룡포, 뉴커먼, 타나토스7, 매그넘 드릴

  2) 잡몹 : 적룡포, 워해머 스톰 자이언트
           (잡몹 처리, 잡몹 견제)
  
  3) 구조물 : 타나토스7, 적룡포

  4) 기타 : 게이볼그, OICW, 트리플텍티컬나이프, M2
           (게이나 오아는 어디 올라갈때 매우 유용하고, 트리플텍티컬은 패닉룸에서 미사일 방어용으로 매우 유용
            M2는 해비 함정에 걸리거나, 부트랙의 사슬에 걸렸을때 빠져나오는데 잠깐 쓴다)
    
  5) 번외 : 파이슨 데스페라도, 초월무기, 배틀 Hecate II
           
            데페는 쫓아오는 좀비 견제하기 매우 좋은 총이지만, 보조무기라서 잘 안쓰는 경향이 있다.
            매드는 적룡포가 나오기 전에는 보스딜과 구조물용으로 아주 좋은 무기였지만, 
            적룡포를 가진 이후에는 6강이나 멀리 떨어진 보스가 아닌 이상은 잘 안쓰게된다.
            (근접 : 적룡포, 중거리 : 뉴커먼, 장거리 : 매드나 배카테)

            초월무기(소총)는 실전에선 잘 안꺼낸다. (그냥 능력치용)

            배카테는 스왑이 빠르면 매드 보다 딜을 잘할 수 있다. (6강은 글쎄)

  6) 코스튬 : 앙그라 날개, 타이탄 인형, 크로노보틱스 가면, 눈결정문신, 디오네문신

  7) 시나리오탬 : 극비연구자금, 자금회수장치, 약점분석기, 상급 체력/공격력 증폭제
            
총빨 게임 답게 저런 무기를 가지지 않으면 고수 라도 곤란한 경우가 많다. 
고수라면 바닥을 수시로 확인해서 해비좀비 똥도 볼겸 바닥에 버려진 쓸만한 무기를 찾기도 한다.
(대신 보스전이 시작되기 전이나 부트랙의 갑옷이 나올때 떨어진 타나토스7은 줏으면 안되는데, 하수는 대부분 줍는다
그리고 그 총으로 딜을 제대로 못해서 화력 손실을 불러온다)

그래서 하수는 대부분 저런 무기를 제대로 갖추지 않는다. 왜냐하면 저런 무기는 대부분 비싸기 때문이다.
(번외무기는 있느냐 없느냐 차이가 덜 큰 무기라고 볼 수 있다. 
물론 닼나와 팔라는 각각 공격력과 체력을 올려 초반 플레이에 큰 영향을 미쳐서 예외다)


2. 맵을 잘 숙지하고 있다

어디 지점에서 투명벽이 있거나 트리거가 작동하고, 어디 부터 어디 까지 적용되는지 파악이 가능하다.
그냥 해외 사이트 가서 NAR 파일 추출해서 BSP파일을 보고 트리거 위치를 대놓고 알 수도 있다.
(새로나온 맵이라면 잘하는 사람도 맵을 숙지하기 위해 NAR파일을 추출하거나 공유하고, 전략게시판도 봐준다)

이걸 안다면 트리거를 OICW로 뛰어넘거나, 투명벽 위로 올라타기도 한다.

※ 사례

  1) 재앙의 징조 첫번쨰 맵 초반에서 구조물을 부수지 않고 OICW로 투명벽 위로 올라타서 다음 구간으로 
     바로 이동할 수 있고, 세번째 맵은 중반 소방차 뒷건물에서 OICW를 중첩해서 바로 보스 존 근처로 도착한다.

  2) 빅토르 첫번째 맵에서는 폭격이 끝나고 게이볼그와 OICW 조합으로 투명 천장에 올라가서 
     보스를 빨리 만날 수 있다.

  3) 패닉룸 초반 로봇이 안나오도록 OICW를 중첩하고, 그 이후는 좀비가 나오지 않게 트리거를 뛰어넘고, 
     보스가 들어간 문이 열릴때 OICW로 좀비와 로봇이 나오는 트리거를 넘어갈 수 있고, 
     보스 첫번째 페이즈에서 OICW 유탄 여러발 중첩해서 투명천장 위로 올라가 곧바로 세번째 페이즈로 
     넘어가게 할 수도 있고, 레이저 어그로를 이용해서 보스를 계속 눈뜨게할 수도 있다.

  4) 앙그라 네스트에서 OICW를 중첩해서 초반부분에서 바로 C4 설치장소로 올라갈 수 있고, 
     보스전에서 OICW로 투명 천장 위로 올라가서 편하게 보스를 딜할 수도 있다.

3. 상황에 따라 대처한다.

이건 어려움 9에서 매우 중요한 요소라서 눈치는 제법 빨라야 유리하고, 
경험이 많은 사람의 오더가 있으면 그것에 따르는 것이 좋다.
만약 그 맵에 대하여 노하우와 경험이 없으면 섣불리 앞장서지 않는다.

하수는 노하우나 경험이 적은데 섣불리 앞장서는 경향이 있고, 좀비를 무작정 잡는 경향이 강하다.
만약 자신 보다 잘할것 같은 사람이 있다면 아무것도 안하고 뒤에서 묵묵히 지켜보는 것이 훨신 낫다.

만약 데미지가 닿지 않는 위치에 있는 사람에(이걸 보험이라 한다) 어그로가 끌렸다면, 
그냥 좀비는 단 한마리도 잡지 않고 얌전히 그냥 죽는게 더 낫고, 관전으로 지켜보면서 경험을 쌓는게 좋다.

좀비는 전체 맵에서 약 "24"마리 정도 나온다. 저 "숫자"를 다 채우면 좀비는 더 이상 나오지 않고, 
만약 죽으면 저 숫자가 다 채워지기 까지 좀비는 무한정 리스폰된다. (65000마리 죽여도 계속 나옵니다)
이런 점을 잘 아는 고수는 저 상황에서는 좀비를 피해간다.

그리고 스폰 장소는 트리거를 밟으면 좀비의 스폰위치가 바뀌게 되고, 
때때로 특정 트리거로 인해 모든 좀비가 죽을 수도 있다.

※ 하수의 사례 : 어려움 9 기준이다. 노말이라면 너무 쉬워서 그냥 돌격해도 상관은 없다.

  1) 앙그라네스트에서 철창문 열리고 바로 나간다.
     -> 잘하는 사람이라면 OICW로 넘어가서 좀비나오는 트리거를 뛰어 넘는다.
    
  2) 재앙의 징조 2번째 맵 시작 직후 구조물이 부서지기 전에 영역을 벗어난다.
     -> 여기서 영역은 상점 선이 아닌 그 밖에 있는 라바콘을 기준으로 한다. 
         정확히는 두 라바콘 사이에 트리거가 있다. 이걸 밟으면 곧바로 좀비가 나온다.

         물론 위의 무기를 가진 사람만 있고 실력이 아주 좋으면 어려움 9라도 그냥 돌격해도 
         상관이 없지만, 문제는 위 무기를 갖추지 않거나 경험이 적은 사람이 주를 이룰때다. 

  3) 맹독의 상처에서 좀비를 무작정 잡는다.
     -> 잡아도 되는 좀비가 있고 잡으면 안되는 좀비가 있다. 위에서 언급한 대로, 
         데미지가 닿지 않는 위치에 있는 사람에 어그로가 끌린 좀비는 잡으면 안된다.
            
         잡을 경우 좀비가 앞에서 진행하고 있던 사람 곁에 좀비가 리스폰되고, 
         진행하던 사람이 그 좀비에 죽기 때문에 진행하는데 큰 지장을 주는데, 
         경험이 없는 사람 때문에 전체 게임 시간이 1시간을 찍는 경우도 많아서, 
         잘하는 사람은 꼬이면 그냥 방에서 나가기도 한다. 
            
         (방 새로 파서 처음 부터 진행하는게 더 빠르다. 맹독의 상처 어려움 9는
         빠르면 10분 내로 끝낼 수 있다는 점을 아는 고수는 좀비를 무작정 죽여버리는 사람이 있으면 
         그냥 나가버리는게 더 낫다고 판단할 수 있다. 물론 어려움을 즐기는 여유로운 고수라면 그냥 머물기도 한다)

  4) 상황에 상관 없이 소생을 막 쓴다.

4. 상점을 잘 활용한다.

장탄수가 다 떨어진 무기에 한해서 매우 유용하다. 상점영역은 무기를 보유 달러 내에서는
무기를 무한정 구매가 가능하다는걸 아는 고수는, 뉴커먼을 전탄 쏘고 버리고 쏘고 버리고를 반복한다.
뉴커먼 말고도 다른 무기도 마찬가지로, 재장전 시간을 스왑 시간으로 대체하여 화력 공백을 줄여버린다.
(옛날에는 DS컨으로 재장전 동작 없이 바로바로 재장전되는 버그를 이용하기도 했다)

또한 상점영역에서 벗어날때 상점 표시가 없어질때 까지 딜레이가 있어서 특히 앙그라네스트에서 중첩하고 
투명 천장 위로 올라가면서 무기를 구입할 수도 있다.

5. 보스의 약점을 잘 노려서 데미지 효율을 올린다.

옜날 보다는 약점 효과는 덜하지만, 약점요소가 있는 보스는 데미지가 몸샷의 2배, 
사지샷의 3배의 데미지가 들어간다. 물론 약점 요소가 없는 보스도 많다. 

보스몹도 일반 좀비나 인간 처럼 방탄복이 있는데, 방탄복 수치가 다 떨어지면 전반적으로 데미지가 2배로 들어간다.
난이도에 상관 없이 방탄복 수치는 일정하고, 이걸 최대한 빨리 깎아버린다면 딜하는데 분명히 유리해진다.

(이걸 증명하는 방법은 어려움9, 어려움6, 보통모드를 비교해서 데미지가 2배로 올라가기 시작하는 때를 보는 것인데, 
데미지가 2배로 올라가기 시작된 구간이 어려움 9에서는 보스 피의 절반 정도 되면 2배로 닳기 시작하고
어려움 6에서는 대략 4분의 1정도 남았을때 2배로 닳기 시작한다. 이때 총 데미지는 어려움 9의 절반과 비슷했다.
보통의 경우는 2배로 닳기 시작하는 구간이 나타나지 않고 죽었다. 
물론 실제랑은 수치가 다를 수 있다)

방탄복이 다 닳는 상태에서 약점을 맞으면 몸샷의 4배의 데미지가 들어간다고 보면 된다.

※ 약점 사례

   1) 디오네의(맹독의 상처) 경우는 배의 빨간 부분이 약점이다. 적룡포가 없더라도 뉴커먼으로 매드나 
       타7을 모아서 공격하는 사람 보다 딜이 더 나오기도 한다.  

   2) 글러트니(감춰진**)의 경우는 등쪽이 약점이지만, 그 이외는 데미지가 거의 안들어간다.
 
   3) 엔비자메나(질투의 가면), 부트렉(빅토르) 같은 경우에는 헤드샷이 존재한다.
      특히 부트렉은 게이볼그로 헤드샷 하면 데미지가 비약적으로 들어가기 때문에 헬맷을 없애는데 매우 유용하다.
      (대략 90K는 나오는것 같고, 달러가 10000달러 이상 나온다)

   4) 포보스(마지막 단서)의 경우는 엉덩이 쪽이 약점이다. 헤드샷은 특유의 구조로 인해 맞추는건 쉽지 않다.
      (룬블로 엉덩이를 치면 대략 40K 정도 나오지만 과연 보스가 뒤를 보여줄까?)

   5) 과거에는 프로즌 래쓰에겐(뜻밖의 조우) 헤드샷이 있었고, 게이볼그로 제대로 맞추면 192K 정도 나오기도 했다. 

   6) 레이저윙도 헤드샷이 있다. 뉴커먼으로 헤드샷을 한다면 달러가 제대로 들어온다.
      달러가 모자르면 매드로 이녀석의 헤드샷만 노리면 달러도 금방 차오르고, 딜 순위도 쉽게 뺏기지 않는다.

고수라면 이런 점을 잘 알고 있어서 딜 3위 안에 들어오는 경우가 많고, 딜 차이도 크거나, 
들어온지 얼마 안됐다면 상위를 앞지르기도 한다.

1등과 2등 차이가 2배 이상 벌어지거나, 1,2등과 3등 차이가 절벽인 경우도 있다, 
123등과 별 차이가 안났다면 백분률을 봐야 알 수 있다. (상위 3명이 80% 이상 차지한 경우)

실제 경험상 보스 피가 반인 상태에서도 딜 3위 안으로 쉽게 진입이 가능한 경우도 있고, 
배카테를 불과 대 여섯발 쐈는데 3위가 되는 경우도 있을 정도로 하수의 딜 능력이 떨어지는 경우도 많다.


6. 레밸업 효과를 잘 활용한다.

이건 고수라도 제대로 활용이 안되는 경우가 많다. 대표적으로 레밸이 오르면 체력이 100이나 회복되는데
대략 8~12업 정도 하면 피가 완전히 채워진다. 이런 점을 잘 이용하면 레밸업 덕분에 체력회복제를 잘 안쓰게 되고,
죽을 고비를 넘기더라도 레밸업으로 체력을 회복해서 제대로 싸울 수 있게 한다.

레밸업 증폭제는 가지고 있으면 레밸업 속도가 빨라지는데, 위에서 언급한 무기들은 한 방 경험치가 엄청 많아서,
거의 한 방이면 레밸이 올라간다. 이 정도면 래밸이 너무 빨리 올라가서 피가 꽉 채운 상태에서 레밸이 올라가는 경우가 많아져서 그 효과를 제대로 누리지 못한다. 물론 공격력 빨리 올라가는건 좋은점이라 하지만, 
내 경험을 본다면 약점을 잘 활용하면 초반 딜은 밀리더라도 후반 딜은 큰 차이가 보이지 않는다. 
왜냐하면 레밸업 덕분에 만랩 보다 생존하는데 더 유리하기 때문에, 
죽을때 까지의 시간이 더 길어진 만큼 딜을 더 할 수 있다는 의미고, 증폭제 없어도 레밸업은 충분히 빠르기 때문이다.

(필자는 레밸업 증폭제가 생기면 바로 분해한다. 
자주 쓰는 케릭터는 공격력이 먼저 올라가서 만랩과는 별 차이가 안느껴지고, 
대략 70대 정도 가면 공격력이 27+5로 돼있다. 만랩이 116인점을 본다면 대략 40 정도가 남는다)

또한 어려움 9라면 부활 시간과 전투소생 쿨타임 때문에 방에서 나갔다 들어와서 
부활시간을 줄이고 소생 쿨타임을 없애버리기도 한다. 어려움 9는 180초의 부활시간과 300여 초의 소생 쿨타임이 있다.
참고로 최초로 들어올때 부활 시간은 45초다. 부활시간을 무려 4분의 1로 줄이면서 소생을 쓸 수 있게 된다.
(대신 나가는 사이에 자리가 꽉 차버리면...)


7. 입맛에 따라 키를 배열 한다.

잘하는 사람이라면 워해머 패콤을 어떻게 하면 편하게 하는가, 
아니면 재구매샷을 손 안아프게 할 수 있는가를 연구한다.

가장 쉬운건 마우스의 옆구리의 2개의 버튼을 활용하는 것이다.
(초기 설정은 옆구리 버튼은 아무것도 설정이 안돼있다)

8. 버그를 알고 있다.

얘만 색깔을 다르게 표시했는데, 이 방법은 올바른 방법은 아니지만, 게임 진행에 도움이 되는 요소가 되기도 한다.
버그현상은 운영진이나 개발진이 의도하지 않는 현상이라 보면 된다.
 
4번항목에서 DS컨을 언급했는데, 이 게임은 이거 말고도 버그요소가 제법 있는 편이고,
고수들은 이러한 버그를 찾아내거나 활용하기도 한다.  

※ 사례

  1) 창잡고 OICW 중첩 시켜서 매우 높이 올라가기.
      -> 이 사례는 현재에도 적용되는 버그요소다. 온라인 게임은 실시간으로 돌아가는 게임이기 때문에 
          절대로 일어나선 안되는 요소다. 과거에는 제목표시줄만 누르면 게임이 누른 사람에 한해서만 
          일시정지되는 현상이 있는데, 요즘에는 -ㅁX 부분으로 눌러서 창을 잡는다.

          그 상태에서 OICW를 맞으면 그 공간에 고정되어 넉백이 안되는데, 
          창을 푸는 순간 여태 맞은 유탄의 넉백 현상이 한꺼번에 적용되는 현상이 있다.
          혼자라면 2발을 중첩할 수 있고, 그 높이는 3~4층 높이 까지 올라갈 수 있다.

  2) 볼트액션 저격총을 스왑으로 노리쇠를 생략한다.
      -> 발사 직후 다른 무기로 바꾸고 다시 저격총을 들면 특정 무기에 한해서 발사속도가 빨라지는 경우가 있다.
          상단에 언급된 배틀 헤카테도 이에 해당되어 스왑을 최대한 빨리 할 경우 발사속도가 약 1.5배 빨라지면서,
          데미지가 매그넘 드릴을 능가하기도 한다.
 
          (모션으로 표현한다면 노리쇠 전진이 끝나는 직후에 바로 쏠 수 있는 정도. 
           기존에는 전진이 끝난 뒤에 딜레이가 있는데 딜레이를 생략한다고 볼 수 있다. 물론 줌 까지 고려한거다)

  3) 부스팅으로 천장을 관통하면서 올라간다.
      -> 이건 시나리오에서는 유저가 서로 겹치게 되면서 할 수는 없지만, 다른 모드에서는 아직 유효하다.
          사람을 2층 이상으로 탑을 쌓으면서, 맨 위에 있는 사람을 바로 아래에 있는 사람이 덕점프로 
          맨 위에 있는 사람을 천장을 관통시켜서 윗층으로 보내게 한다.
          부스팅을 잘하려면 맨 윗사람과 바로 아랫사람은 반드시 앉아있어야 하고, 앉은채로 점프해야 한다.
          윗 사람이 먼저 덕점프하고 아랫사람이 바로 덕점프를 해야 한다. 
          (둘 중 한 사람이라도 서있으면 부스팅이 안되는데, 하수는 대부분 서있는다)

  4) M2는 이동 장애에 걸렸을때 이 무기를 들어서 벗어날 수 있다.
      -> 부트랙의 사슬이나 해비 함정에 걸렸다면, 즉각적으로 무기를 사서 벗어날 수 있다.

  5) ㅁㅋㄹ나 불법프로그램을 사용하지 않는다. (걸리면 1년 제재 또는 영구제재)
      -> 운영자에게 걸리면 어떻게 되는지 알거다. 하지만 진행이나 보스 처치에는 도움이 된다.

          ㅁㅋㄹ는 복잡한 조작을 매우 간단히 만들 수 있고, 무기의 속도를 허용된 범위내로 최대한 끌어낼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워해머 패콤을 버튼 하나로 해결한다던가, 배카테 스왑도 버튼 하나로. 재구매샷도 버튼 하나로.
          휠점프 대신 버튼을 꾹 누르면 점프를 계속 할 수 있다던지..

          요즘 중 고가의 게이밍 장비는 대부분 ㅁㅋㄹ가 지원되는데, 장비에 따라서는 검출 프로그램으로도 
          걸리지 않는 경우가 있다. 어떤 장비는 에디터나 프로파일러 없이도 다른 컴퓨터에도 그냥
          적용 되는 경우가 있어서 사실상 소프트웨어 만으로 적발이 불가능한 경우가 있다. 

          (특정 게이밍 장비를 쓰는것만 해도 제재하지 않는 이상은 걸리지 않고, 
          이런 경우는 USB 드라이버로 검출하거나, 유저의 거의 일정한 속도의 입력 패턴으로 적발이 가능하다)

          유저라면 어느 정도 구별할 수 있는데,
            
           i : 위의 특정 상황에 대해서 에임과 이동이 너무 안정적인 경우.
              버튼을 여러개 눌러서 에임이 어느 정도 흔들리거나, 움직임이 잠깐 멈출 수 있는데, 
              흔들림이 너무 없고 너무 자연스러우면 ㅁㅋㄹ다.

          ii : 속도가 이상하게 빠른 경우. 
              스왑 모션이 자주 생략되는 경우를 들 수 있다.

              사용자 컴퓨터와 네트워크 사양에 따라 생략되는 빈도는 달라질 수 있는데,
              인터넷과 컴퓨터가 I7에 기가 인터넷으로도 모션이 자주 생략되면 의심할 수 있다. 
              컴 사양이 안좋으면 대체로 모션과 소리가 생략되는 빈도가 많아지고, 
              성능이 좋으면 생략되는 빈도가 대체로 적어진다.
            
          불법 프로그램의 경우는 게임의 소스를 직접 건드리기 때문에 검출 프로그램에 의해 쉽게 적발이 된다.
          불법 프로그램을 쓴다면 사용자는 무기의 무한탄창과 엄청난 연사력, E키를 누르면 순간이동급으로 빨라지는           이동속도에 쾌감을 느끼면서, 그 속도를 제대로 컨트롤 하지 못해 죽는 경우가 허다하다.
          
          대신 보스 딜은 엄청나서 어려움 9라도 얼마 안가서 끝나버리거나, 
          패닉룸에서는 트리거를 밟더라도 엄청난 이동속도로 로봇과 함께 그 곳에 들어가기도 하면서
          심지어 트리거를 무시하기도 한다.
          고수라도 부계정을 많이 가지고 있으면 저러는 경우가 많고, 대부분 본케로 사용하지 않는다.

          (거기에 투자한 돈이 수십~수백 단위로 들어가는거라 불법프로그램으로 계정을 밴시키면 
          투자한 돈은 다 없어지는것과 같은거다. 실제로 스팀 같은 경우도 VAC 밴이 있지만, 
          적어도 싱글플레이는 할 수 있다. 이마저 막아놓는다면 
          법률상 문제가 발생할 소지가 있기 때문이다)


결론은 고수와 하수와의 차이는 하늘과 땅 차이로 느낄 수 있다.
잘하는 사람이라면 위 8가지 중 5가지 이상 갖췄다고 볼 수 있고,
특히 3번 요소는 매우 중요해서 고수에게는 거의 필수요소로 볼 수 있다. 

또한 간혹가다 부주얘기가 나오는데, 부주는 왠만해선 안해주는게 좋다.

1. 여태 모아둔 무기를 분해할 수도 있다.
2. 부주가 매크로나 불법프로그램 사용으로 계정이 차단될 수 있다.
3. 부주로 인해 그 케릭터의 명성에 지장이 생길 수 있다. (부주가 빌린 계정으로 패드립 쳤거나)

애초에 계정 공유는 불법이기 때문이다.
추천 : 3
댓글을 남기시려면 로그인 해주세요
댓글 : 8
  • 좋은 글이네요 ㅎ (초보입장에서 좋음) Lv. 1간언 2017.08.30
  • 치유자 금마 **잘하대 Lv. 1대신동황금발 2017.08.22
  • 대표적으로 본 고수3명꼽으라면 누구? Lv. 1FamilyWithGod 2017.08.22
  • 닥추 Lv. 1모바일에서 등록요모렌지 2017.08.21
  • 프레임은 60이 최하라서 그 상황이라면 스킵이 더 잘돼서 판별이 힘들다는 겁니다. Lv. 1Evacuate 2017.08.21
  • 맞아요. 하지만 프레임 100 걸어도 스킵이 잘되는 경우를 얘기한겁니다. Lv. 1Evacuate 2017.08.21
  • 컴좋아도 프레임 제한걸고 하면 되고 Lv. 1모바일에서 등록봉개동불기둥 2017.08.21
  • 모션 스킵은 따로 방법이 있음. Lv. 1모바일에서 등록봉개동불기둥 2017.08.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