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즘에 새로운 이슈로 부상한 룬블 때문에 어려움 9를 더 쉽게 깨졌기 때문에 혹시나 해서 올립니다.
서론으로..
이 게임의 기본적인 유닛의 영역은 사각형이다.
좀비가 주변에 둘러 쌓인 자기 모습을 보면 알 수 있다.
일반적인 클래스나 좀비의 경우는 정육면체 2개를 쌓은 높이로 보면 되고,.
(좀비개는 1개)
보스의 경우는 정육면체 3개를 쌓은 높이로 보면 됩니다.
마찬가지로 보스의 가로세로 범위는 2×2로 보시면 됩니다.

정리 : 인간 이나 일반크기의 좀비 : 1×1×2 (가로×세로×높이)
좀비개 : 1×1×1
저거넛, 보스 : 2×2×3
일반 적인 인간의 점프력 = 1.8
날개나 뛰어난 유전자 사용시 = 2.1~2.2 정도. (2가 넘어가면 사람 위로 올라갈 수 있다)
그리고 룬블 검광 공격의 범위 = 4~5칸
그리고 시야각은 90도로 본다.
(어썰트 옥상 사진은 옥상 한 모퉁이에 서서 대각선으로 바라본 모습이다. 보다시피 옥상 윤곽이 시야와 거의 일치하다)
그렇기 때문에, 보스 곁에 모일때에는 다음과 같이 배열한다.
위의 경우는 평면으로 배열한 경우다.
빨강 : 보스
녹색 : 일반 유저, 노랑 : 2층 유저
파랑 : 룬블 유저
1번 안 : 유저9명이 뭉쳐있는 형태다. 룬블 유저가 보스까지 거리가 좀 있지만 검광은 보스를 맞출 수 있다.
다만 유저들이 잘 모여있어야 한다.
2번안 : 1번안을 좀 더 효율적으로 갈 수 있게 보스 일부를 둘러싸인 형태다.
3번안 : 유저들은 보스 주변을 완전히 포위하고 모퉁이에 있는 룬블 유저가 대각선으로 검광을 날린다.
4번안 : 보스 3면을 완전히 봉쇄시키고 룬블 유저가 검광을 날리는 형태다
5번안 : 보스 주변을 2층탑으로 포위시키는 방법으로 영향을 받는 인원이
보스와의 거리를 최대한 줄일 수 있어서 안정성이 높다.
검광이 영향을 받는 범위는 좌우 2칸씩으로 4칸 정도의 범위에서 검광의 영향을 받기 때문에 4번이 가능하다.
그리고 룬블 구조물 공격력은 그냥 휘두를때 대략 700정도, 검광은 약 900으로 보면 된다.
(내구력에 따라 최대 2배정도 차이날 수 있다)
보스 데미지는 검광으로 대략 13~14K로 본다.
그런데, 다른 유저 1명만 중첩이 되면 구조물에 대한 공격력은
구조물 공격력이 2000정도 되는 매드와 비슷해진다(매드 = 찌르기, 룬블 = 좌클릭). 약 3배가 올라간다고 보면 된다.
10명 방에서 어려움 9 오베론이 1방에 죽는 이유도 설명이 가능하다. (어려움 9에서 오베론 체력은 5000K)
사람당 3배씩 증가하고, 9명이 중첩되면 3^9배나 증가한다.
이 정도라면 약 19683배나 올라간다는 뜻이다.
(2^9배만 해도 512배인데, 이정도만 해도 오배론은 한 방이다.)
거기에 일반 데미지인 14K에서 곱해버리면, 왠만한 어려움 9의 보스들은 거의 한 방에 보낼 수 있다는 것이다.
본론
한방에 보내기 쉬운 보스는 등장할때 잠깐 가만히 있거나, 나타나는 위치가 예상이 될때다.
어려운 보스는 등장하자마자 움직이거나, 이벤트 씬이 있거나, 보스 등장 전에 잡몹이 나오는 경우다.
왠만한 육상 보스는 가능하고 예외적으로 패닉룸의 로스트가디언이나,
마지막비행의 크로노윙은 유저와 거리가 상당히 먼 관계로 룬블로 처리할 수 없다.
난이도의 영향은 아래와 같다
1. 좀비 : 보스 나오기 전에 등장하면 난이도 대폭 상승,
보스와 등장 직후에 나타나면 난이도 상승,
2. 등장 직후 : 등장 직후 움직이면 난이도 대폭 상승 (일부 유저가 밟혀서 죽을 수 있음)
3. 이벤트 씬 : 시즌 3 부터는 이벤트씬이 있는데, 배열을 갖출 시간을 뺏는 요인으로 난이도 상승
시즌 1
포보스
- 중간 난이도(보스 나오자 마자 좀비 나옴, 나오는 위치가 유저들과 떨어져 있음, 등장하자 마자 움직임)
- 구석에 모두 모여서 룬블로 처리하면 된다
시즈타입 포보스
- 조금 쉬운난이도(등장 할때 보스가 밀려나옴, 좀비 등장 늦음)
오베론
- 매우 쉬운 난이도(등장 위치 예상 가능, 등장하고 잠깐 가만히 있음, 배열을 다시 맞출 필요가 있음)
시즌 2
디오네
- 쉬운 난이도(등장 위치 예상 가능, 낙하하기 때문에 정확한 위치를 잡으면 밟힐 수 있음, 늦은 좀비 등장)
레버넌트
- 매우 쉬운 난이도(등장하고 잠깐 몸풀기(몸 푸는 동안 배열을 맞출 수 있음))
앙그라
- 중간 난이도(나오기 전에 좀비나옴, 낙하 직후 가만히 있음)
시즌 3
타이탄
- 중간 난이도(나오기 전에 좀비나옴, 낙하 직후 가만히 있음)
스콜피온
- 매우 어려운 난이도(등장할때 맵 가장자리로 유저를 밀어냄, 등장 후에 배열을 맞출때 까지 시간이 걸림)
매카닉
- 어려운 난이도(나오기 전에 좀비나옴, 등장까지 3분 30초, 낑 가능)
(보스 등장전의 좀비 등장은 난이도에 큰 영향을 **다)
가디언 (불가 : 보스 주변 물, 너무 먼 거리)
시즌 4
래쓰
- 약간 쉬운 난이도(이벤트 씬, 등장 후에 가만히 있음, 등장 위치 예상 가능, 일시적으로 낑 가능(사망))
글러트니
- 매우 어려운 난이도 (매우 높은 방어력, 라운드 시작 직후 이벤트씬, 보스와 거리 멀어서 배치에 시간이 걸림)
- 그냥 위로 올라가서 편하게 때릴 수 있고 난이도가 어렵지 않아서 굳이 중첩할 필요가 없음
엔비
- 매우 어려운 난이도(등장 위치 예상하여 낑 가능, 등장 전 좀비(치명적), 보스 2마리)
- 구석에 모두 모여서 두마리 동시 처치
렉스
- 보통 난이도(등장할때 이벤트씬, 등장 직후 스킬 또는 이동, 위치 예상 가능)
시즌 5
레이저윙
- 보통 난이도(라운드 시작 직후 이벤트씬, 등장 직후 이동하지 않으나 빨리 처리 안하면 방어막 생성할 수 있음)
잭
- 매우 어려운 난이도(등장할때 이벤트씬, 이벤트 씬 중에 보스가 움직이거나 스킬을 쓸 수 있으나, 일시로 낑 가능)
크로노보틱스
- 어려운 난이도(등장 전 까만 화면, 등장할때 이벤트씬, 등장 직후 움직임)
- 구석에 모두 모여서 처리해야함.
크로노윙 (불가)
(빨간색이 보스가 있는 영역이다)
시즌 6
매카닉 X
- 어려운 난이도(등장 직후 움직이거나 스킬)
크라켄 X
- 어려운 난이도(2층 탑 4개를 일렬로 물 가장자리에 서있어야 룬블로 처리 가능)
- 처음 물에 올라오고 바로 내려가기 때문에 첫 보스가 죽고 두번째 보스 등장 씬이 나오기 전에 배열하나,
- 보스 등장 전에 발판이 폭파되면서 사망하거나, 입수되지 않도록 주의
(주황색 = 3층탑)
※ 이것은 이론을 바탕으로 작성한거라서 실재랑 다를 수 있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