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략게시판

전략게시판 [리뉴얼이전글]
(스압주의)각종점프에 대한 이론
2015.03.05 11:02 조회 : 7432
Lv. 21NormalZombie 가입된 패밀리가 없습니다. 작성자 게시물 더보기
물논 퍼온거지만 볼사람은 보고 안볼사람은 뒤로가기 버튼 누르기

1.패스트런,월럽

패스트런: W버튼을 누른 채 가고자 하는 반대 방향으로 시선을 돌리고, 가고자 하는 방향의 A/D 키를 빠르게 연타합니다.
     각도를 크게 돌릴 수록 빠른 연타가 필요하며 대략 260u/s의 속도로 10유닛 이상의 추가 속도를 얻을 수 있습니다.
     만약 A/D 연타가 아닌 A/D를 꾹 누른채 달린다면 248u/s의 속도가 나오며 오히려 2유닛을 손해보게 됩니다.


패스트런에 추가적으로, "Wallrub"이라는 버그가 있습니다.
벽타기 혹은 벽비비기로 볼 수 있겠는데, 중요합니다. 벽을 대각선으로 바라보고 달렸을 시에 속도가 278u/s까지 나오기 때문입니다. 


 Note유닛이란, 카운터스트라이크와 크리즈 맵에서 길이를 재는 공식 단위로 "카운터스트라이크의 센티미터"로 비견될 수 있습니다.
     이를 이용해 점프의 거리나 속도 등을 측정하며, 당연하게도 맵 제작 역시 이 단위를 기본 단위로 사용합니다.
 


2. 에어스트레이프: Translated by RhyshaN

당신이 Kreedz 맵들을 성공적으로 플레이하고 싶건 오리지널 맵들에서의 어려운 트릭점프들을 마스터하고 싶건 간에, 당신은 분명히 당신의 움직임을 향상시켜야 할 것이고 먼저 모든 중요한 기술들을 익혀야 할 것입니다. 자연스럽게도, 대부분의 사람들은 점프와 스트레이프를 하는 동안 앞으로 가는 키인 W키를 누르는 W-스트레이프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이것은 몇몇 쉬운 맵들에서는 먹힐지 모르나 길게 보면 이러한 W-스트레이프는 쓸모가 없습니다. 따라서 당신이 맨 처음 배워야 할 것은 에어스트레이프입니다:

에어스트레이프를 올바르게 하기 위해서는, 점프 후 당신의 마우스를 당신이 스트레이프 하고 있는 방향(D키를 누르면 오른쪽으로, A키를 누르면 왼쪽으로)으로 돌려야 합니다. 점프 후에는 W키에 손을 대지 말아야 합니다. 점프 중의 W키를 누르는 것은 당신을 느리게 만들 것이고 진행방향을 이상하게 만들 것입니다.

정확한 에어스트레이프를 할 수 있게 되면, 나와 있는 모든 Kreedz 맵들의 다양한 180도 점프가 필요한 구간들을 쉽게 클리어할 수 있을 것입니다.


3. 프리스트레이프: Translated by RhyshaN

3.1 롱점프를 위한 프리스트레이프

프리스트레이프는 당신을 뛰기 전 가속시켜주어, 더 멀리 뛰는 것을 가능하게 해줍니다. 만약 정확하게 프리스트레이프를 구사한다면, 공중에서의 스트레이프가 전혀 없이도 239유닛(보통 말하는 롱점프, 240의 바로 직전값)을 뛸 수 있습니다. 프리스트레이프를 익히는 것은 초보자가 롱점프를 익히는 것만큼이나 중요한데, 좋은 프리스트레이프를 익힌다면 초보자를 위한 기본 맵들을 깰 수 있을 것이고 230에서 235유닛의 거리도 뛸 수 있을 것이기 때문입니다.

프리스트레이프를 하는 방법은 아래와 같습니다(아래 설명된 것은 모두 평지에서 진행되어야 합니다).

먼저 블록 끝부분에 대해 대각선 방향으로, W키를 눌러 달려가는 것으로 시작합니다. 끝부분까지 절반 정도의 거리가 남았을 때부터, (방향에 따라) D키나 A키를 누르며 부드러운 곡선을 그려야 합니다. 블록의 끝부분에 다다를 때까지 키를 누르며 곡선을 그려주고, 다다른 순간 W키에서 손을 떼며 첫 에어스트레이프(이 순간에는 유일한)와 연결이 될 D키나 A키만을 누른 채 점프를 시작합니다.

Important: 이 모든 것을 할 때 당신은 당신의 마우스로 부드러운 곡선을 그려야 할 것입니다. 다시 말해, 캐릭터의 바라보는 방향(방향에 따라 좌우로 90도)을 바꾸는 마우스를 정말 부드럽게 움직여야 합니다. 이러한 부드러운 움직임은 추가적인 가속을 이끌어 낼 것이고, 이것은 좋은 프리스트레이프를 위해 매우 중요합니다. 만약 이것을 너무 빠르거나 너무 느리게 한다면, 가속을 얻지 못하거나 어쩌면 더 느려질지도 모릅니다. 올바른 방향키를 골라 누르는 것이 부드러운 마우스 조준곡선을 그리는 것보다 쉽다는 이유로, 이는 초보자들이 저지르기 쉬운 가장 흔한 실수 중 하나이기도 합니다.

-> Note: 프리스트레이프 없이 에어스트레이프만 하는 것보다, 에어스트레이프가 없이 프리스트레이프만 하는 것이 더 효과적입니다! (에어스트레이프보다 프리스트레이프가 점프에 주는 영향이 더 큽니다)

3.2 보통점프를 위한 프리스트레이프

쉬운/보통 레벨의 맵들(우리의 초보자 서버에서 찾을 수 있는 모든 맵들)에서 필요한 대부분의 점프들은 보기보다 쉽습니다. 알맞고 좋은 프리스트레이프("뛰기 전에 생각하세요!")가 성공의 열쇠입니다. 점프하기 전, 달리기 위한 최적의 경로(점프하기 직전, 가장 높은 속력을 만들어 낼 수 있는 가장 긴 거리)를 찾기 위해 노력하세요. 대부분의 경우 당신은 바위나 블록의 좁은 공간을 대각선으로 가로질러 달려 일반적인 프리스트레이프를 해내야 합니다.


4. 더블덕: Translated by RhyshaN

더블덕은 32유닛 높이 이하의 엣지를 점프 없이 올라갈 수 있게끔 해주는, 배우기 매우 쉬운 간단한 기술입니다.

이 기술을 사용하는 이유는 간단합니다: 시간을 벌 수 있기 때문입니다.
일반적인 점프 이후에 착지를 하면, 속도가 떨어지게 되지만 착지 후 더블덕을 하게 되면 속도가 떨어지지 않습니다.

/* 이러한 더블덕의 '공중에 떠 있는 것과 같게 되는 성질'로 인해 카운트점프와 흔히 말하는 '덕팅(그라운드 스트레이프, Ground Strafe)'이 가능하게 됩니다. */

즉, 두 상황에서 더블덕이 유용하게 사용됩니다:
위 영상처럼 작은 엣지들을 점프를 사용했을 때보다 빠르게 올라가야 할 때와, (특히 큰 바위들 위에서) 점프 후 착지 시 속도 하락을 없애고자 할 때입니다.

더블덕을 사용하는 것은 매우 쉽습니다. 그저 올라가고자 하는 엣지로 달려가서, W(혹은 A, D)키를 누른 채 덕을 두 번 해주면 됩니다. 하지만 빠르고 효과적인 더블덕을 구사하기 위해서는, 덕을 꽤 빠르게 눌러줘야 하는데 그를 위해 약간의 연습이 필요합니다.

-> Note: 만약 마우스의 스크롤 휠에 어떤 기능도 할당하지 않았다면 마우스휠 업과 마우스휠 다운 모두에 덕을 할당하는 것을 추천합니다(콘솔창에 bind "MWHEELUP/MWHEELDOWN" "+DUCK"을 함으로써). 이렇게 하면 엣지를 올라갈 때 그저 스크롤 휠을 아래로 굴리거나 위로 굴리면 되기 때문에 더블덕을 쉽게 할 수 있고 더블덕이 더 강력해 질 것입니다.

최적의 연습장소로는 롱점프 맵들이 있습니다. 연이어진 롱점프 블록들을 향해 달리고 각각의 롱점프 블록들에 더블덕을 사용해 연습하십시오.


 

위의 튜토리얼에서는 MWHEELUP/MWHEELDOWN을 모두 덕으로 사용하길 권장한다 쓰여있으나,
마우스 휠에는 MWHEELUP은 점프로, MWHEELDOWN은 덕으로 사용하는 것처럼 점프와 덕을 함께 배치하는 것
이 더 적절합니다.

5. 슬라이딩/"서핑": Translated by RhyshaN

슬라이드(미끄럼)가 포함된 몇몇 맵들이 있지만, 걱정할 필요는 없습니다. 슬라이딩이나 서핑(파도타기)은 매우 쉽기 때문입니다.

-> Note: 실제 서프 맵들은 airaccelerate 100에서 플레이 되나 당연하게도 1.6 KZ맵들에서의 "서프"는 기본 세팅(airaccelerate 10)에서 이루어지기 때문에 슬라이드라 불립니다.

기본적으로 경사면을 오르기 위해서는 그저 W키를 꾹 누르면 됩니다.
이는 몇몇 맵들에서 지름길로 사용되거나, 몇몇 맵들에서는 실제 점프들을 해내기 위해 요구될 수 있는 기술입니다.

실제 서프블록을 클리어할 때 경사를 타오르고 떨어지지 않기 위해 W키를 누르는 것보다는 진행방향의 시야를 확보할 수 있는 A나 D키를 누르는 것을 추천합니다.

-> Note: 슬라이딩은 높은 FPS(Frame Per Second) 값을 요구합니다. 낮은 FPS에서는, 슬라이딩이 매우 어렵고 불안정해 결국 떨어지게 될 것입니다. 

경사를 슬라이딩/서핑하기 위해 최소한 경사에서 버틸 수는 있어야 하는데, 낮은 FPS에서는 이에 있어 높은 FPS에 비해 불리합니다.
이는 결과적으로 맵의 클리어 여부를 그래픽카드의 성능이 결정하게 만들며, 하프라이프 엔진의 특이한 성질을 알 수 있게끔 해줍니다. 


6.1 기본 버니합

버니합은 아마도 Kreedz에 있어 가장 중요한 기술일 것이고, 실력있는 모든 점퍼들은 강력하고 빠른 버니합을 구사할 수 있습니다. 당신은 버니합 맵들을 클리어하거나 이어지는 연속된 버니합을 통한 여러번의 점프로 등산맵들에서 빠른 기록을 얻어내기 위해 뛰어난 버니합 스킬을 가질 필요가 있습니다.

버니합은 그저 멈추지 않는 연속된 점프만으로 되지는 않습니다: 에어스트레이프 없이는 속도가 떨어지고 멈출 수밖에 없기에, 버니합을 하는 동안에는 속도를 얻기 위한 여러번의 연속된 에어스트레이프를 해야 합니다.

-> Note: 만약 버니합을 완벽히 구사한다면(덕스탠드 버니합) 평지에서조차 보다 빠르게 이동할 수 있습니다. 이는 프로 점퍼들이 짧은 거리의 평지(예를 들면, bridge)에서 Fastrun을 사용하지 않고 버니합을 사용하는 이유이기도 합니다. 또 다른 이점으로는, 맵을 클리어할 때(Highjump/Countjump를 보십시오), 버니합을 통해 엣지프릭션의 부정적 효과를 피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우리의(Xtreme-Jumps.eu의) 오래되었지만 매우 잘 알려진 버니합 가이드를 첨부합니다. 또한 우리의 다운로드 섹션에서는 이 영상의 고화질 원본파일을 받을 수 있습니다.

-> Note: 튜토리얼 비디오에서 언급했듯이, 버니합을 하기 위해 마우스휠에 점프를 할당하는 것을 추천합니다(콘솔창에 bind "MWHEELUP" "+Jump"를 침으로써). 다시 뛰기 위해 착지한 그 완벽한 순간을 5~6회 연속으로 잡아내 키보드의 키를 눌러 맞추기란 거의 불가능하기 때문입니다. 마우스휠이 이 문제를 해결해 줄 것입니다.


덕스탠드업 버니합: 덕스탠드업 버니합(韓, 덕스탠딩)은 버니합의 또 다른 더욱 발전된 형태입니다. 약간의 추가 속도와 추가적인 상승을 얻을 수 있는, 덕과 일어서는 동작을 통해 약간의 추진력을 만들어 이용하는 기술입니다.


7.2 덕스탠드업 버니합

오랜 기간동안 월드레코드는 지난 챕터에서 배웠던 기본 버니합만을 다뤘었습니다.
그러나 기본 버니합을 확장시키는 역할을 한 덕스탠드업 버니합이라는 새로운 기술이 꽤 최근에 발견되었습니다. 기본 버니합보다 더 강력하기 때문에 현재는 매우 널리 알려진 기술이고 커뮤니티 안에서도 매우 유명한 기술입니다.

-> Note: "스탠드업 버니합"으로도 불리는(일어서기 위해서는 당연히 먼저 덕을 한 상태여야만 하므로) 덕스탠드업 버니합을 배우고 싶다면, 기본 버니합을 먼저 연습해야 할 것입니다. 스탠드업 버니합을 익히기 위해서는 기본 버니합 기술이 기본기로 깔려 있어야 합니다.

이미 기본 버니합을 할 수 있다면, 매우 유용하고 강력한 스탠드업 기술을 배울 준비가 되어 있는 것입니다:
스탠드업 버니합은 땅에 닿는 즉시 점프를 해야 한다는 점에서 근본적으로 기본 버니합과 같습니다. 기본 버니합과의 차이점은, 점프 중에 덕이 들어간다는 점입니다: 땅에 닿기 조금 전에 덕을 눌러줘야 합니다. 즉, 덕을 하는 시점은 공중에 떠 있을 때입니다! 그리고 누른 덕키를 땅에 닿기 조금(!) 전에 떼어줍니다. 덕키에서 손을 떼는 순간, 당신의 캐릭터는 "일어서게"되고 꽤 멀리 뛰어나가게 됩니다. 즉, 당신의 캐릭터는 점프 중에 "일어서게" 됩니다. 결국 당신은 약간의 추진력을 얻게 됩니다!

이 파트를 주의깊게 읽어 행동이 일어나는 순서를 확실히 이해했길 바랍니다. 만약 덕키에서 손을 떼는 것과 점프를 동시에 하게 된다면, 당신은 그 즉시 멈춰버리게 될 것입니다.

-> Tip by chrizZo:
적절한 순간을 잡아내는 것은, 타이밍의 문제입니다. 연습으로 적절한 타이밍을 찾아낼 수 있을 것입니다!

스탠드업 버니합은 매우 유용합니다. 당신이 활용할 수 있는 확실한 이점으로는: 스탠드업 버니합을 했을 때, 당신은 더 높이 뛸 수 있습니다(수직높이). 몇몇 블록들은 기본 버니합으로 도달할 수 없으나 스탠드업 버니합으로는 가능한 경우가 있습니다!
또한 스탠드업 버니합이 만들어 내는 추진력은 속도가 떨어진 경우 특히 유용합니다. 매우 빠른 가속이 일어나도록 이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 Tip by chrizZo:
하지만 스탠드업 버니합만을 사용한다면 일반적으로 더 느리다는 것을 기억하기 바랍니다! 대부분의 경우, 스탠드업 버니합과 기본 버니합을 섞어 사용하는 방법이 버니합을 이용해 앞으로 나아가기 위한 가장 빠른 방법입니다!


9. 롱점프: Translated by RhyshaN

 

이미지

 

 

롱점프는 기본적으로 이 튜토리얼 시작부분에서 이미 배운 두 기술(프리스트레이프에어스트레이프)이 혼합된 기술입니다.
깔끔하고 좋은 프리스트레이프로 시작해 점프 후 약간의 에어스트레이프를 섞어주면 됩니다.

(만약 당신이 더 많은 에어스트레이프를 한다면, 그것은 멀티스트레이프라 불립니다)


적절한 프리스트레이프와 2~3번의 멀티스트레이프로 당신은 240유닛 혹은 그 이상을 뛸 수 있을 것입니다.
롱점프 스킬을 향상시키고 싶다면, 프리스트레이프 그리고 (롱점프에서 매우 중요한) 싱크가 잘 맞은 멀티스트레이프(싱크가 잘 맞아 떨어질수록, 당신의 스트레이프는 더욱 강력하게 작용합니다)를 함께 연습해야 합니다.

-> Note: 스트레이프를 연습하기 위한 좋은 방법으로, 중력을 0으로 세팅한(콘솔창에 sv_gravity "0"을 침으로써) de_cbble과 같은 거대한 공간을 가진 큰 맵을 불러와 연습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그 상태에서 점프를 하면 맵의 천장에 처박히게 되는데, 하늘에서는 걸을 수 없으므로 앞으로 이동하기 위해서는 에어스트레이프를 이용해 가속해야만 합니다. 이 방법을 통해 당신의 스트레이프가 효과적인지(그래서 가속이 잘 이루어 지는지) 바로 알 수 있을 것입니다.


-버니합 롱점프

자, 이제 새로운 롱점프 카테고리를 배울 시간입니다! 이를 배우기에 앞서, 당신은 기본/스탠드업 버니합이 어떤 것인지, 어떻게 사용하는지 먼저 알아야 할 것입니다.

-> Note: bhop longjumps, bhop lj라고도 알려진(in Korea: 버니롱점, 버니롱점프) 버니합 롱점프는 우리의(Xtreme-Jumps.eu의) 롱점프 레코드 리스트에 롱점프하이점프처럼 자신만의 카테고리를 갖고 있습니다.

좋은 버니롱점프에서 가장 중요한 부분은 프리스트레이프입니다. 목표는 버니합에서 299.9units/s의 프리스트레이프(엄밀히 말하면 프리스트레이프가 아닌 공중에서의 에어스피드)에 도달하는 것입니다. 299.9units/s보다 높은 프리스트레이프는 급격한 속도 하락을 유발하기 때문에, 좋은 버니합 롱점프를 하기 위해서는 299.9units/s에 가까운 프리스트레이프를 만들어 내도록 노력할 필요가 있습니다.

약간의 추가적인 에어스트레이프가 섞인 첫 점프로 299units/s의 에어스피드를 만들어 낸 후에, 버니합 블록에서 즉시 버니합을 해야 합니다! 기본 버니합보다 덕스탠드 버니합이 더 강력하기 때문에(덕스탠드 버니합 챕터를 보십시오) 덕스탠드 버니합을 하는 것이 버니롱점프에서는 최고의 선택입니다. 더 높은 속도와 좋은 점프거리를 만들기 위해, 보통 롱점프처럼 점프 중에 여러번의 에어스트레이프를 해야 합니다. 당연하지만, 마지막에 덕을 하는 것을 잊어서는 안됩니다.

-> Tip by chrizZo:
성공적인 버니롱점프를 위해, 당신은 블록에 닿았을 때 기본 버니합 대신 스탠드업 버니합의 기술을 사용할 수도 있습니다. 이제까지의 기록들은 스탠드업 버니합의 추가적인 추진력이 버니합 롱점프에 있어 매우 효과적이라는 것을 증명합니다. Xtreme-Jumps.eu 레코드 섹션의 모든 버니합 롱점프 기록은 스탠드업 버니합으로 세워졌습니다!

보통 롱점프나 하이점프와는 달리, 버니롱점프의 프리스트레이프는 공중에서 진행된다는 것을 기억하십시오. 따라서 버니합 블록에서 뛰기 전 버니롱점프의 프리스트레이프는 에어스피드까지 포함하므로, 버니롱점프의 프리스트레이프는 땅에서 진행되는 프리스트레이프와는 매우 다릅니다.

-> Tip by chrizZo:
좋은 프리스트레이프(299u/s)는 버니롱점프에서 가장 중요한 부분입니다!
좋은 멀티스트레이프 없이도, 프리스트레이프만 올바르게 되었다면 버니롱점프로 243유닛 이상을 뛸 수 있습니다! 또 버니롱점프는 끊임 없는 스트레이프 연습 없이도 하이블록을 쉽게 깰 수 있는 기술이기 때문에, 한 번 시도해 볼만한 기술입니다!


11. 하이점프: Translated by RhyshaN

높은 곳에서 뛰었을 때 일어나는 속도 하락에 대해 의문을 품어본 적이 있습니까?
물론 느껴 보았을 것입니다. 그러나 왜일까요? 하이점프는 무엇이며 왜 엣지(모서리)에 가까이 갈수록 속도가 떨어지는 것일까요?

먼저 '하이점프란 무엇인가?'에 대한 자문자답입니다.
답변은 이렇습니다: 보통 롱점프보다 더 어렵기 때문에, 우리는 70유닛 이상의 높이에서 뛴 모든 점프를 하이점프라 부릅니다.
롱점프와 하이점프의 경계는 정확히 70유닛입니다. 따라서, 69유닛 높이에서의 점프는 보통 롱점프이고 70유닛 높이에서의 점프는 하이점프라 부릅니다.
어쨌든 동적인 변화는 없어 70유닛에서 뛰었건 7000유닛에서 뛰었건 간의 차이는 없습니다.

이제 하이점프가 무엇인지는 알았습니다. 그러나 왜 하이점프가 보통 롱점프보다 어려운 것일까요?

오랜 기간 동안 우리는 70유닛 보다 높은 곳에서 뛸 경우 엔진에 의한 중력 변화가 있는 것으로 잘못 추정해 왔습니다. 또 엔진 제작자가 의도적으로 남겨놓은 버그는 아닌가 생각했었지만, "edgefriction 0/1/2"라는 콘솔 값이 존재하기에 그 추측 또한 틀렸습니다. 이 명령어의 표준 값은 2이고, 다른 값은 "하이점프 효과"를 없애 주지만, Kreedz 맵들은 기본 설정에서 플레이 되어야 하므로 허락되지 않습니다.

게다가 우리의 코더 eDark는 소위 "엣지프릭션" 효과가 속도 하락을 유발한다는 것을 밝혀 냈습니다. 이에 대한 몇가지 팩트로:

만약 하이점프의 엣지에 똑바로 달려가게 되면, 당신은 속도의 17%를 잃게 됩니다! 속도 하락은 7.5units/s 만큼 깎이는 것으로 시작해 4.5units/s만큼 깎이는 것으로 끝납니다. 이로 인해, 1units/s 의 속도를 "잃을" 때마다 점프거리는 0.74유닛 만큼씩 줄어들게 됩니다.

마법의 "돌이킬 수 없는 지점(뛰어야 하는 지점)"은 위에 기술한 속도 하락이 시작되는 지점으로, 엣지의 바로 앞 13.6유닛(250units/s로 달려갈 때)에 위치하고 있습니다.

아래 그림은 하이점프의 엣지를 향해 달려갈 때 속도가 어떻게 변하는지를 보여줍니다:

 

 

 

이미지

 

 

 


당신의 속도가 높을수록(좋은 스트레이프) 당신이 느려지는 시점은 뒤로 늦춰질 것이고 점프 시 더 좋은 속도를 가질 수 있게 됨을 의미합니다. 좋은 속도를 갖기 위한 가장 중요한 팩트는 달려가고 있는 방향(이때, 쳐다보고 있는 방향은 무의미)입니다. 만약 당신이 엣지에 평행하게 달려가고 있다면, 당신은 속도를 전혀 잃지 않을 것입니다. 당신은 모든 프리스트레이프에 아래의 공식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속도 하락이 없는 엣지로부터의 거리 = sin(엣지에 대해 달리는 각도) x 13.6유닛

좋습니다. 그래서 이것이 롱점프보다 하이점프를 어렵게 만들었었군요. 그렇다면 이를 어떻게 다룰 수 있으며 좋은 하이점프를 하기 위한 최고의 방법은 무엇일까요?

우리는 앞서 엣지에 평행하게 달리면 속도를 잃지 않는다는 것을 배웠습니다. 따라서 최고의 속도를 내기 위해 당신의 프리스트레이프를 변형할 필요가 있습니다. 이와는 다른 강력히 추천되는 방법으로는, 롱점프에서 뛰던 것보다 더 일찍 뛰는 방법이 있습니다. 엣지를 향해 달려갈 수록 더 많은 속도를 잃을 것이기 때문입니다.


-> Note: 하이점프에 있어 엣지프릭션을 피하는 다른 방법으로 버니롱점프나 카운트점프를 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두 기술 모두 엣지프릭션 효과를 줄이거나 없애지만, 버니롱점프 기록은 247유닛이고 카운트점프 기록은 272유닛이기 때문에 카운트점프가 더 효과적인 방법이라 할 수 있습니다. 우리는 다음 챕터에서 카운트점프에 대해 좀 더 알아볼 것입니다.

자, 이제 하이점프에 대한 모든 팩트들을 알게 되었으니 가능한 많은 연습으로 하이점프에 대한 감을 잡고, 좋은 하이점프를 하기 위한 당신에게 맞는 최고의 방법을 찾는 일만 남았습니다. 좋은 결과 있길 바랍니다!

하이점프 기록 중 하나를 담은 비디오를 첨부합니다.

마지막으로 하이점프를 발견하고 연구하는데 관여한 모든 사람들에게, 특히 eDark와 thopa에게 감사의 말씀을 드립니다.


결국 하이점프는 높은 곳에서 떨어져 죽지 말라는 Valve의 배려로 인해 생겨난 셈인데,
이 덕에 게임 중 몇번은 살았을테니 꼭 쓸데없는 배려라 할 수도 없겠군요. 


이미지


12. 카운트점프: Translated by RhyshaN

CJ라는 약어로도 불리는 카운트점프는(in Korea: 카점) 노르웨이의 점퍼 Count가 발견했고 그의 이름을 딴 기술입니다. 그는 매우 긴 포럼의 쓰레드를 통해 카운트점프를 문서화해 설명했습니다. 카운트점프의 발견은 Kreedz Climbing 역사를 통틀어 가장 혁신적인 사건 중 하나입니다.

이 새로운 기술은 하이점프의 엣지프릭션 효과(하이점프 챕터를 보십시오)를 무시할 수 있게끔 해줍니다. 이 기술을 통해 하이점프는 그대로, 70유닛 이상의 높이에 있더라도 보통 롱점프와 같은 난이도를 갖게 되었습니다. 그 이유는 더블덕을 사용해(이에 대해서는 뒤에 설명합니다) 속도 하락이 일어나게 되는 마지막 13유닛 동안 공중에 있게 되어 엣지프릭션의 영향을 받지 않기 때문입니다.

이를 제외하고도, 카운트점프의 프리스트레이프가 더 높은 속도와 더 강력한 점프를 가져다 주기 때문에 보통 롱점프가 뛸 수 있는 거리 이상을 뛸 수 있게 됩니다.

이러한 카운트점프의 이점들은 많은 지름길과 새로운 트릭점프들을 만들어 냈습니다.

자, 이제 카운트점프의 모든 이점들을 알았습니다. 그렇다면 카운트점프는 어떻게 하는 것일까요?

카운트점프는 롱점프와 같이 여러 기술의 혼합으로 이루어집니다. 구사해야 할 첫 기술은 보통 롱점프의 프리스트레이프이고 프리스트레이프의 마지막 부분에서는 더블덕을 해줘야 합니다. 이를 위해 마우스휠에 덕을 할당하고(콘솔에 bind "MWHEELUP/MWHEELDOWN" "+DUCK") 굴리세요! 더블덕을 구사한 뒤에는 매우 짧은 시간동안 공중에 떠 있게 될 것입니다.

공중에 있기 때문에, 순간 당신의 속력은 10units/s만큼 줄어들게 됩니다. 그러나 공중에 있는 동안 스트레이프를 통해(공중에서 을 함으로써) 보통 프리스트레이프의 최고 속도인 275-276유닛을 넘어서는 추가 속력을 얻을 수 있게 됩니다. 이 기술은 특히 중요하며 이와 같은 프리스트레이프가 더블/멀티 카운트점프에도 필요하기에 다음 더블/멀티 카운트점프 챕터와도 연관됩니다.

더블덕의 기본 사용용도와는 반대로, 체공시간이 끝나는 즉시(착지시에) 점프를 할 필요가 있습니다(이 또한 마우스 휠로 하는 것이 좋습니다). 간단히 말하면, 카운트점프는 버니합으로 이어지는 더블덕이라 할 수 있습니다.

-> Note: 더블덕과 더블덕에 이어지는 작은 점프는 모두 카운트점프의 프리스트레이프로 볼 수 있습니다.

이 이후에 구사해야 할 기술은, 롱점프를 할 때와 마찬가지로, 에어스트레이프입니다. 스트레이프의 싱크와 힘이 카운트점프를 통해 실제로 뛰게 될 거리를 결정하는 데에 큰 요인으로 작용할 것입니다.

Tip by Fact or Fiction:
프리스트레이프의 속도가 높으면 높을수록, 넓은 각의 스트레이프는 비효율적으로 작용할 것입니다.


13. 더블/멀티 카운트점프: Translated by RhyshaN

더블/멀티 카운트점프(DCJ/MCJ)는 사실 보통 카운트점프와 같은 기술이지만, 더블/멀티 카운트점프는 프리스트레이프에 하나 혹은 여러개의 추가적인 덕스트레이프가 들어갑니다.

이 기술의 문제점은 보통 카운트점프보다 구사하기 어렵다는 데에 있습니다. 왜냐하면 땅에 닿는 즉시 덕을 한번 더 하는 것은 매우 어렵고 예측하기 힘들기 때문입니다.
 

 

이미지

dcj prestrafe

 


그러나 이 기술은 가능한 최고의 프리스트레이프 속도, 299.(9)units/s에 도달할 수 있게 해줍니다.



추천 : 8
댓글을 남기시려면 로그인 해주세요
댓글 : 6
  • 하이점프에대해서 자세히 알아보고감... ㄳ Lv. 1RoyalBusan 2015.03.08
  • 이분 장난아니네 ㅋ Lv. 1RoyalBusan 2015.03.08
  • 되게 과학적인듯;; Lv. 1VIRUS미카엘라 2015.03.06
  • 어디서 퍼온거 Lv. 1버듀 2015.03.05
  • 유용한 정보네요 Lv. 1brian좀비 2015.03.05
  • 어디까지나 모든 기술들은 연습과 기초가 중요하죠. Lv. 1EXOLemonWhisky 2015.03.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