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게시판

Lv. 32 my우유 가입된 패밀리가 없습니다. 작성자 게시물 더보기

사이코페스코믹카툰길드

 

사이코페스


근간에 많이 사용되는 사이코페스라는 것은 정신장애의 일종으로 성격장애에

해당하는 말이기도 하다.

냉담하고 충동적이며, 자기중심적이고, 무책임 하며, 이기적인 면이 강한 성격

이다.

지신의 행동의 결과가 타인에게 어떻게 미치는 피해가 되는지도 이해하지

못하고 생활하는 사람이다. 대인관계에서도 감정적 사교적 교감은 거의 없으며,

피상적으로 대하며, 자신의 욕구나 소원을 이루기 위해서 강한 집착적인 행동을

나타내는 사람이다.

이런 증상은 정신장** 보면 틀린 말은 아닐 것이고, 이들의 성격상의 특징은

자기중심적이며, 강박적 사고와 행동이 흔하게 일어나며, 냉담하고 묵비권한

태도를 나타내고, 동정심이라고는 찾아 볼 수 없으며, 항상 정서적불안을 갖고

있으며, 양심의 가책을 느끼지 못하는 둔감에 젖어 있으며, 인식능력이 부족한

면에 있고, 현실감각에서 상황판단을 자기중심적인 욕구충족을 위해서 행동화를

결정하고 행하는 사람들이다.

또 말을 잘하는 달변가라는 소리를 들을 정도로 잘하고, 충동적이라서 행동의

형태가 극과 극으로 행하며, 항상 자기만족을 위해 행동하고, 지나치게 과장

하거나 사실을 외곡 하는 못된 습관을 가지고 있으며, 간정과 정서의 표현도

지나칠 정도로 하며, 후회나 죄의식이 없어서 행한 행동의 결과가 어떠한

영향을 일으키는지 생각하지 않는다. 그래서 행한 행동으로 쾌락을 얻으며,

공간능력이나 책임감에서 무책임한 편이다.

거직 말이나 속임수에 능하고, 대부분의 행동이 반사회적일 때가 많아서

타인들로 부터는 질책과 반감을 일으키기도 하는 것이다.

서울대병원 정신과 권준수 교수는 사이코페스는 뇌 기능의 장애에서 비롯된

것이라고 주장을 하지만, 이는 성격발달상의 환경적인 영향에서 문제가 일어

난다고 심리학자들은 반사회적인 성격으로 형성된 것이라고 다르게 주장을

하는 것이다.

그러나 사이코페스가 뇌 기능의 장애나 기질적인 면이 원인이 되어서 일어나든,

선천적인 요인과 후천적으로 가정환경이나 성격발달상일 때 환경의 영향으로

발생하든 이들을 구분 하기란 전문가라도 쉽게 알아 볼 수 없을 정도로 일반인

과의 차이가 없어서 분간 할 수 없는 것이다.

최근에 강력범죄가 발생하거나 성 범죄, 연쇄살인 사건, 유괴 사건 등등으로

인하여 사이코페스가 알려 젓는데, 사회구조적인 측면에서의 자극도 이들의

행동을 부추기는 원인이 될 수 있다고 본다.

그랫 사람들도 인간의 성격이나 정서발달, 정신발달기간에는 각별한 주의를

기울려서 어린이들을 키울 필요가 절실하다 할 것이다.

이런 사이코페스의 사람들은 일터에서도 성실하고 인간관계도 좋으며,

거주지 주변 사라들로 부터도 착한 사람으로 인정이 되어, 보편적으로

볼 때 평범한 사람으로 보이지만, 이들의 심적 내면에는, 야누스의 양면성을

가지고 있어서, 범죄적 행동을 일으키기 전에는 아무도 알아차릴 수 없다는

점이다. 그래서 보통 평범하고 착실한 사람으로 인정이 되기에 좀처럼 알기가

어렵다. 

가장 중요한 사실은 가정환경이 온화한 분위기가 필요하며, 부모님들의 자녀

보살핌도 지극정성으로 해야만, 이런 사이코페스가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지름길이 될 것이라고 생각한다.

 는 사이코페스 = ㅅ =

 ㅡ ㅅ ㅡ 케취 크뤠이어 ~
사이코페스 보니까  나쁜거네

사이코 메트리

미국의 과학자 J.R.버캐넌이 제창한 용어이다.

한 실험 결과에 의하면 남성은 10명 중 1명, 여성은 4명 중 1명이 이 능력을 가졌다고 한다. 이 능력은 투시(透視)의 일종인데, 이전에 존재했던 인간의 기억이 냄새처럼 주위의 사물에 남는다는 초심리학적 가설(假說)에 의거한다. 이에스피(ESP) 카드에 의한 투시능력실험 등은 이것을 응용한 것이다.

근년에 영국 ·미국에서는 사이코메트리를 채택하여 범죄현장의 유류품(遺留品)에서 범인이나 피해자의 행방을 추적하는 실험을 한다. 네덜란드의 투시능력자 G.크로아젯은 이 분야의 경찰협력자로서 유명하다.

 

 

추천 : 2
댓글을 남기시려면 로그인 해주세요
댓글 :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