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서 초등학생 실종 사건은 1991년에 대구에 살던 다섯 명의 초등학생이 도롱뇽 알을 주우러 간다며 집을 나선 뒤 실종된 사건을 말한다.[1] 사건 발생일 1991년 3월 26일은 5·16 군사 정변 이후 중단된 지방자치제가 30년 만에 부활하여 기초의회 의원을 뽑는 시·군·구의회 의원 선거일이었다. 개구리 소년 실종 사건으로 널리 알려져 있다.
5명의 초등학생이 그것도 같은 날 동시에 실종된 이 사건은 당시 상당한 파장을 일으켰고, 사건 발생 2년 후인 1993년에는 KBS 1TV의 사건 25시와 SBS의 그것이 알고 싶다를 통해 심층적으로 방영되면서 전국적인 관심을 불러일으켰다. 특히 공중전화카드, 엽서 등은 물론이고 심지어는 어린이 만화 비디오테이프 등까지 대대적으로 캠페인이 전개되면서 남녀노소 대부분이 이 사건에 대해 인지할 정도였다.
당시 정부는 경찰과 군을 대대적으로 투입하여 현장 주변을 샅샅이 뒤지고 전국적으로 수배 전단이 배포되었다. 하지만 뚜렷한 성과없이 미제 사건으로 묻히는듯하다가 사건 발생 11년 6개월만인 2002년 9월에 아이들의 유골이 발견되면서 전국이 충격에 빠졌다. 이 사건은 끝내 아이들의 사망 원인조차 제대로 규명하지 못한채 2006년 3월에 공소시효 15년이 만료되면서 미제사건으로 남았다.
한편으로 실종 어린이들이 흔히 개구리 소년으로 불렸는데, 이는 도룡뇽 알을 주우러 간다는 말이 개구리를 잡으러 간다고 와전된 것이 초기에 널리 퍼지면서 비롯된 일이다.
목차[숨기기] |
대구 성서초등학교 (당시 성서국민학교)에 다니던 동네 아이 다섯 명은 1991년 3월 26일에 대구 달서구 와룡산에 도롱뇽 알을 주우러 간다며 집을 나갔다. 아이들은 결국 돌아오지 않았으며, 부모들은 경찰서에 실종 사건을 신고했다.
사건이 미궁에 빠지자 카이스트 교수인 한 심리학자가 범인을 추적한다면서 한 소년의 집 마당에 시신을 있을 거라 주장한다. 기자들이 지켜보는 가운데 경찰은 그 집을 파헤치지만 시신은 발견되지 않았다. 그는 후에 당시의 사건에 얽힌 실화소설 <<아이들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