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게시판

자유게시판 [자유게시판]
바이오스피어-1
2010.05.01 09:03 조회 : 157
감염자에게 공격받은 생명체 역시 감염되었으며, 생명체에서 생명체로 전이되는 변이바이러스의 특성상 인구가 밀집한 대도시일수록 그 피해가 더욱 심각했다.

치사율이 99%에 달하는 변이 바이러스는 발생 1개월 후, 세계보건기구에서 그 정체를 공식적으로 인정했을 때 이미 수천만에 달하는 감염자가 발생한 후였지만, 어떠한 백신이나 대응방안도 찾아볼 수 없었다.

치명적인 타격을 입은 각국은 생존을 위해 이주할 곳을 찾아야 했다. 상대적으로 인구밀도가 낮고 물류가 뒤쳐진 개발도상국의 타격이 덜했고, 치명적인 피해를 입은 강대국들은 그들에게 자비를 구해야만 했다.
그러나 수많은 감염자가 포함된 타국의 난민을 받아주려는 국가는 없었으며, 결국 갈 곳 없는 강대국들은 생존을 위한 전쟁을 벌이게 된다.
살아남은 인간들의 생존을 향한 집념은 강했고, 전쟁은 수십개국에서 일어났다.

전쟁과 분쟁으로 인한 사망자의 수가 바이러스로 인한 사망자의 수를 넘어서자, 세계 인구는 바이러스 발생 전의 1/10 에도 미치지 못했다.

대부분의 국가는 국가로서의 통제력을 상실한지 오래였다. 생존자들은 지역 단위로 뭉치고 투쟁했지만, 부족한 식량과 물자는 인간을 더이상 버틸 수 없게 만들었다. 모든 생산은 멈췄고, 인간들은 부족한 식량과 자원을 찾아 도시에서 도시로 떠돌았다. 하지만, 수많은 변이 생명체들은 이들이 살아남도록 내버려두지 않았다.

변이생명체의 위협과 턱없이 부족한 물자 속에서 생존의 방법을 찾던 일부의 과학자들은 우주식민지 건설을 위한 실험이였던 ‘바이오스피어’ 에 착안하게 된다.

‘바이오스피어’ 는 화성에서의 거주를 위해 완전한 자급자족이 가능한 인공적인 자연 환경을 만들어내기 위한 실험이었다. 밀폐된 공간 속에 산림과 습지, 사막과 바다 등의 실제 자연을 초소형 크기로 재현해서 각종 동식물이 서식할 수 있는 작은 생태계를 구현하는 것이었다.
이렇게 인공적으로 재현된 자연환경 속에서 농작물을 가꾸고, 동물을 사육하거나 낚시를 하며 자급자족 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드는, 축소판 지구재현의 계획이였다.

과학자들은 이 ‘바이오스피어’ 계획을 모델로 일정 규모의 생존자들 이 자급자족 할 수 있는 미니도시의 구축 방안을 만들어 내기 시작했다.
이들의 계획은 살아남은 이들에게 빠르게 전해지고 논의 되었으며, 마침내 상대적으로 피해가 적은 도시를 찾아 외부와 격리한 후, 필요한 환경을 조성하여 생존자들이 그 안에서 독자적으로 살아갈 수 있도록 한다 는 구체적인 안에 이르게 된다.

큰 호응을 얻은 계획은 실행을 위해 필요한 수많은 인재들을 불러 모으게 되었다.
그들은 생물학자에서 건축 기술자들, 의사, 그리고 완전한 무장을 유지했지만 충성할 국가를 잃어버린 대대규모의 육군 병력까지 그 필요성에 따라 다양했다.

‘바이오스피어’ 계획은 애초 공기가 없는 화성에서의 생존을 위한 계획이었기 때문에 밀폐된 구조가 필요했고, 때문에 10명 안팎의 인간만 이 생존할 수 있는 매우 작은 규모의 실험이었다. 하지만 바이러스는 공기를 통해서는 전염되지 않기 때문에 밀폐된 구조가 아닌 것은 문제가 되지 않았다.

대신 최소한 수백명 이상의 인구를 수용할 수 있는 넓은 대지와 이들의 식량을 충당하기 위한 더욱 넓은 농경지와 목장, 그리고 오염되지 않은 수원이 필요했으며, 무엇보다도 외부의 침입으로부터 안전한 고립된 공간이 필요했다.
그리고 이러한 계획을 완성시키기 위해 중장비와 건축 자제, 운송수단 등의 자원도 손쉽게 구할 수 있는 곳이어야 했다.
결국 계획은 미대륙 동부 해안도시 인근의 어느 섬을 후**로 결정 하게 된다.

도시의 중앙에 위치한 이 섬은 안전의 확보에 더없이 유리했으며, 도시 중앙이라는 위치는 각종 물자의 확보에도 용이했다. 장소가 확정되자 변이생명체 소각을 위한 병력이 투입되었고, 섬의 모든것은 불태워졌다. 섬의 모든것이 소각되고 안전이 확보되자 피난민들의 이주가 시작되었다.

섬 내부의 필요 없는 건물은 해체되었으며 그 자리에 농경지가 조성되고, 바이러스에서 살아 남은 각종 동물들이 공수되었다. 과학자들은 가능한 많은 종의 동/식물을 유지하려 노력했다.
그것은 그들의 의무와 같은 것이었다. 국가도, 정부도 없이 살아남기 위한 집념으로 시작된 이 계획은 수많은 사상자를 내면서도 성공에 이르러 결국 다수의 과학자와 의사, 군인을 포함한 천여명의 인간들이 정착할 곳이 만들어지게 된다.
그리고 그 이름은 과거의 ‘바이오스피어’ 계획에서 지구를 뜻하는 의미 였던 '바이오스피어1’ 으로 명명 된다.
댓글을 남기시려면 로그인 해주세요
댓글 :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