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게시판

 

 

 

장거리에서 AWP만났을때의 긴장감은.. 라이플 샷빨로는 해결할수 없음을 느꼈습니다.
누군가.. 라이플로도 충분히 AWP다~ 잡을수 있다.. 라고 말하시는분이 계시다면..
아직 당신은 제대로된AWP 고수를 못 만나보았기 때문이라 말하겠습니다.

때문에 저는 아무리 샷빨 조아도.. 일정거리 이상에서 AWP를 이기기는 매우 힘든것이라
단정하고.. AWP의 필요성을 강조합니다.

뭐.. 뒤 돌아가서 뒤치기 하믄 되지.. 뭐하로..AWP상대하고 있냐..
하시면 할말 없습니다만.. 게임의 흐름에 의해 반드시 일정 장소로의 러쉬를 성공시키려면,
그리고.. 그곳에 AWPer 가 있다면.. 우리쪽에도.. AWPer 가 있는것이.. 유용하겠죠..

그러한 가정하에..AWP에 관한 글을 올려봅니다.

awp vs awp 로 상대와 대치중일때.. 상대가.. 1초도 안되는 짧은 순간에
엄페물에서 나와 나를 쏘고 들어가는걸 보신적이 있으실껍니다.
이것은 이론상으론 원래 불가능 하죠..
왜냐면..awp 는 움직이면서 쏠때 그 정확도는 0%에 가깝기 때문입니다.
다시 말하자면.. 착시 입니다.
실제로의 상대방은 나와서 - 멈춘뒤 - 쏘고 - 숨은것 인데 실제의 모습과 게임상의
움직이는 모습은 차이가 있습니다. 이것은 핑이라는 서버의 시간차로인한..당연한 결과입니다.
핑이 올라가면.. 더욱 심해지죠.그래서 핑을 따지는것이기도 하구요..
그런데.. 이 착시를 이용해야만.. 상대를 효율적으로 제압할수있습니다.
의외로 간단한데요..


 

 

part1. 무빙샷



무빙샷이라 했지만 awp 를 무빙을 멈춘상태에서 쏜다는것은 어떠한 경우에도 변함이 없습니다.


- 순서

1.벽뒤에 숨는다.
2.벽뒤에서 나옴과 동시에 줌땡긴다.
3.멈춘다.
4.쏜다.
5.권총으로 바꾼다.
6.다시 벽뒤로 숨는다.


부가 설명

1번은 설명이 필요 없겠죠..
2번부터는 연습이 필요합니다.. 일단.. 벽 바깥으로 나갈때가 문제인데.
보통 초보분들 하시는거 보면.. 몸 전부를 바깟으로 내보내는 경향이 있습니다.
그것은 자신의 몸이 엄패물(이하 '벽')바깥으로 조금 나갔다.. 싶을때 멈추기 때문인데요..
이것은 자신의 의도와는 상관 없이 적에게 몸을 완젼히 보여주는 결과를 낳습니다.
때문에 해결방법은 벽의끝에 다다르기 전에 반대쪽 방향키를 0.5초 정도 누르고 있다가 때는거죠..

"D키"를눌러 벽의 모소리에 도달하기 바로 전에 "A키"0.5초정도를 누름으로써.. 벽에서 몸이아주 약간 나갔을때 몸이 멈춰지는 결과를 기대할수있습니다.

이때 쏘는것이죠..

5번과 6번은 동시에 이루어 져야됩니다. 잠시동안의 딜레이도.. 있어서는 안되고요..
연습만이 살길이라지만.. 알고 연습하는것과.. 그냥 무턱대고 연습하는것은 천지차이입니다.

알았으면 가서 죽어라 연습합시다..ㅡㅡ;



 


part.2 점프샷


점프를 하고있는 동안에는 awp를 쏴봐야.. 원하는곳에 맞지 않습니다.
남들이 쩜프해서 쏜 총에 내가 죽었다고 느끼는것은 단지 게임상의 시간차이일뿐이고..
그들역시 점프한 상태에서 쏜것이 아닙니다.


- 순서

1.무빙하다가 점프함과 동시에 줌땡긴다.
2.착지/정지 한다.
3.쏜다
4.권총으로 바꾼다.
5.다시 무빙..


2번의 정지는 역시 반대편 방향키를 이용합니다. (위에 무빙샷 참고..)
이때 2가지의 경우가 있는데..
한가지는.. 길게 점프하여 떨어진후 쏘는것과..
다른한가지는 점프중에 방향을 바꿔 떨어진후 쏘는것..이죠
두가지는 어느것이 좋다라고.. 말씀드리기가 어렵고.. 상황에 마춰서 사용하시면 되겠습니다.

전자는.. 줌으로 상대방이 내가 나올곳을 바라보고있을때.. 좋고..
후자는.. 줌을 안한상태로 내가 나올곳을 바라보고 있을때.. 좋겠죠.

왜 그런지는 필자의 귀차니즘으로 인해 스스로 잘.. 생각해보시길.. (무책임한..)

아.. 생각 해보니.. 변수가 너무 많군요.. 점프를 연속2번한후에.. 쏘는것도 있고..
암턴 다~ 생략하고..
길게 쩜푸후에 멈춰서 쏘는것만 설명하겠습니다.

일단 길게 쩜프를 하고.. 줌을 땡깁니다. 그후에.. 발이 땅과 닿기 바로전에 반대편 방향키를 누릅니다.(그럼 착지와 동시에 정지함을 느끼실껍니다.)
반대편 방향키를 누르자 마자 상대방을 향하여 발사..
그담은.. 뭐.. 권총으로 바꾸고.. 다시 awp 들고.. 주절주절..

여기에서의 관건은.. 발이 땅에 닿는 타이밍과 반대편 방향키를 누르는 타이밍 인데요..
이것을 연습을 통해 익히셔야만.. 쩜프샷이 가능해 집니다.
그리고.. 점프뛴 상테에서 에임의 위치는 당연히 상대의 머리보다 위에 있어야 합니다.
그래야.. 점프후 착지된 상테에서는 상대의 머리 혹은 몸통을 겨누게 되겠죠..

아 글이 길어질수록 귀차니즘의 압박이... -_-; 짧게 짧게 설명하겠습니다.


그다음 궁극의 스킬인.. 끌어치기라는것...


끌어치기에는.. 2가지가 있는데요...
하나는.. 움직이는 녀석을 끌어치기로 맞추는 것이고..
또 하나는.. 줌을 땡겼을때.. 적의 위치가 에임의 가움데가 아닐때.. 끌어치기 하는것..

둘의 차이점은..
전자는.. 적의 움직이는 속도를 감안하여 끌어쳐야 잘 맞는다는것이고..
후자는 말그대로 순발력으로 때리는거죠..
둘다.. 연습을 통한 결과의 산물로 죽이느냐 마냐를 결정하는것은 변함이 없습니다만..
끌어치기는.. 에임을 적몸에 겨눈뒤..쏘는것이 아니고..에임이 적몸을 스쳐지나가도록 하면서.. 적몸에 놓인순간을 포착하여 쏘는것이라 생각합니다...

참.. 그리고.. 상대와의 거리가 아주 먼대도 불구하고.. 끌어치기 한답시고..마우스 훽~
움직이시믄.. 너무 마니 움직이니깐.. 거리가 멀때는.. 아주 조금만 신속하게 끌어쳐 주세요.

신속하게 끌어치는것이 가능하다면 스펙모드로 보는사람은.. " 저사람은 엉뚱한데 쏘는데.. 상대방은 죽어버리네?" 라고 생각할수 있겠됩니다...

가장 이상적인 awp샷은.. 무빙 끌어치기샷.. 혹은 쩜프 끌어치기샷.. 이죠..
숙달되면.. 의식하지 않고도.. 그렇게 되겠지만..

모든것의 장점을 접목시켜서 할수있다면 그것이 젤 좋은것입니다.




마지막으로 순줌인데요..

어떤사람들은 노줌샷이라 말하는데..
노줌샷을 이용해서 kill을 했다면.. 초근접전이 아닌이상 뽀록입니다.
보는사람은 하두 순식간이라 모를뿐이지.. 순간적으로 줌을 해서 쏘는겁니다.

이것은.. 마우스 왼쪽버튼과 오른쪽 버튼을 거의 동시에 누름으로써 가능한데요.
오른쪽을 아무래도.. 먼져 눌러야 줌이 되겠지만..  경험상.. 동시에 누름으로써.. 순줌샷이 되더군요.... 조금 못미더우시믄.. 오른쪽 왼쪽을 거의 동시에 누르되.. 오른쪽을 먼져 누른다 생각하시고 쏘세요..

순줌샷 역시 무빙하는 상태에서는 절대 안맞습니다.
움직이다가 갑자기 멈춰서 순줌으로 죽이고.. 다시 가던길 가는게.. 올바른 행동이시죠

순줌은.. 권총과의 조합 입니다.
이말의 뜻은.. 권총을 이용해.. 에임위치를 기억한 상태로 awp로 순줌한다는 말이죠..
사실 능숙한사람은 권총의 에임 도움없이도.. 순줌이 가능하나.. 초반 연습은.. 이렇게 하시는게.. 좋으실겁니다.

어떤분들은.. 모니터 가운데 점하나찍고.. 순줌하신다고.. 하는데..
이런 방법은.. 뭐랄까.. 실력보다는.. 얍삽이라 생각하구요... 즐기기만 하시려면 하시던가..
그런방법으로 하면서.. 순줌 잘쏜다 소리는 말아주시고.. ^^
쩝.. 암턴가네.. 순줌을 쏘시려거든.. 언제든지 가다가 멈출수 있도록 준비를 해야됩니다.
예를 들어.. 앞으로 전진하고 있을때는 적이 갑자기 튀어나올것을 대비하고 있다가.
만약 적이 진짜로 튀어 나왔을때는.. 신속하게 방향키"뒤로"를 눌러서 정지시킨후 순줌을 쏘는거죠..

순줌의 효용성은.. 실로 대단합니다.. 필요없다 하시는분들도 계시지만.. 순줌은.. awp의
단점인..zoom상테에서의 시야가 좁아짐을 줄일수 있고.. 기동성을 높일수있으며..
가장 중요한.. 성공했을시..뽀대난다는거죠..


 

 

마지막으로...

* Awp사용시 주의사항(부가설명 생략합니다.)

1. 줌한상테로 한곳을 너무 오래 바라** 않는다.
2. 자신이 순줌에 달인이 아니라면 권총들고 뛰어다닌다.
   또한 빨리 뛰는것이 목적이라면 awp보단 권총이 빠르다.
3. 적이 갑자기 튀어나왔다고해서 급하게 쏘지 말것.
4. 당신이 awp를 들고 적의 예상경로를 예상하듯이.. 적도 당신이 awp를들고 조준하는것을 예상하고있다는것을 명심할것.
5. 자신의 무기는awp 말고도 권총과 칼,HE 가 있다는 사실을 잊지말것.
6. 잔탄량이 3~4발일때 조급하게 장전하지 말것.
7. 점프한 적을 쏠때에는 과도하게 위로 올려칠것.
8. 적의 움직임을 마우스로 따라가려 하지 말고, 한 순간을 포착하여 쏠것.


기타.. 심리적인것들은.. 스스로의 깨우침으로 밖에는 깨닳을수 없다고 생각하여
생략합니다.


아.. 할말은 많은데.. 표현력의 한계로 인해 못한말들이 너무 많군요..
긴글을 읽어주신 모든분들깨 감사드립니다.

 

 

 

----  보충설명 Part 1. 무빙샷 ----


awp 무빙샷의 기본원리인 움직이고,멈춘뒤,쏘고,회피 를 이해하신다면.
좀더 고차원적이며 효과적인 무빙을 위하여 알아두셔야 될것이 있습니다.

무빙샷을 완벽하게 구사할시에..가끔 탄이 엉뚱한데 박히는것인데요.
왜 완벽하게 구사했는데.. 엉뚱하게 박히느냐...... 라는 생각을 가지시는분을 위해
풀어 말하자면..
실제의 탄은.. 에임의 정중앙에 박히나.. 그 모습은 흡사 다른곳에 맞아서 탄이 튀는모습
처럼 보이게 되는겁니다.
(순줌을 너무 빨리 쐇을시에도..같은 현상이 일어나죠. 그것과 같은 개념이라 보시면
됩니다. 확실한 이유는 잘 모르겠습니다.
(혹시 아시는분은 좀 알려주시길 바랍니다...)

그러나 필자가 이러한 이야기를 하는 결정적인 이유는,
이것을 모르고 연습한다면..
연습의 효율이 떨어진다라는 것을 말씀드려고 하는겁니다.

예를 들어보자면....
실제로는 제대로 맞은 샷이.. 화면에 보이는것은 엉뚱한데 맞았다고 치면..
제대로된 무빙샷을 해놓고..'내가 너무 빨리 쐈나..?' 혹은 '내가 너무 움직이면서 쐈나..?"
라는 등등의 생각을 하므로써.. 자신이 할수있는 최대한 낮은 딜레이 무빙샷의 속도를
늦추게 결과를 낳음으로써 나아가서는 자신의 샷빨을 의심하게 되는 것이겠죠..

결론.1
따라서 쏜 awp가 맞았는지 않맞았는지 신경쓰지 말고.. 적이 죽느냐.. 아니냐를
기준으로 놓고.. 연습을 하셔야 되겠습니다....
이말을 명쾌하게 풀 자신이 없군요...
현명하신 분들의 깊은 생각을 믿고.. 더이상의 거론은 안하겠습니다.

결론.1-2
적의 죽음을 확인하되 절대로 상대의 죽는 모습을 보려해서는 안됩니다.
(오른쪽 위에 뜨는 글씨로 확인하세요.ex> A-tom =-=-- seaofp)
이것은 아주 기본이지만.. 여러사람들이 실수하는 부분이기도 합니다.
쏜다음은 볼것없이 움직이십시오.



 

---- 보충설명 part. 2 점프샷. ----



일반적인 점프샷의 설명은 지난글을 참조해주시고..
그 설명에 이은 점프샷의 장점을 더욱 높힐수있는 몇가지에 대하여 설명하겠습니다.

   1.점프+덕 을 이용한 점프샷.

점프키와 동시에 Ctrl 키를 누르면.. 다리를 심하게 와따리 가따리 하면서 뛰는 모습이
연출됨과 동시에 앉았을때와 마찬가지로 키가 줄어든 상태로 뛰게 되죠..
적이 나를 맞추게 될 부위를 반으로 줄이면서 점프 하신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사용법.
초반 생략.
- 1. 착지 바로전에..키를 Ctrl 키를 한번더 살짝 눌러주시고..
  결과 - 오래 공중에 머물러서 공중die할 경우를 최소화 합니다.  

- 2. 착지와 동시에 점프를 뛴방향의 반대편 키를 0.5초간 누름과 동시에 발사합니다.
  어떤분깨서.. 점프샷시에는.. 반대편키 안눌러도 되잖아요? 라고 하신것을 본것 같은데.
  그래도 됩니다만.. 제생각에는 눌러주는편이 정지가 빠릅니다.



   2. 2단 점프샷.

점프샷에 버닝합을 도입한 예는 아직 찾지 못했고.. 또한 저도 시도해보려 했으나..
awp를 든 상태로의 버닝은 의미가 없음을 인지하고.. 포기하였습니다.

2단점프샷은 말그대로 2번의 연속적인 점프를 한후에 샷을 날리는 것입니다.
역시 덕점프를 이용하면 좋겠죠.

2단점프샷의 장점으로는 적으로부터 헛발을 유도하여 내가 쏠 타이밍을 번다는것과
내가 가고자 하는 위치로 더욱 가까이 ,비교적(어디까지나 비교적임)안전하게 갈수있다는 겁니다.

사용법.
- 1.칼을 무빙 덕 점프한다..
    칼들고 뛰는것이 빠르고.. 또한 첫번의 점프때에.. 쏠것이 아니므로.. 칼들기를 권장.
- 2.쩜프도중 awp로 전환
- 3.착지와 동시에 점프 한다.
- 4.다시 착지와 동시에 샷.

추가 설명: 3번의 타이밍을 잘 맞춰야 합니다.
               그렇지 못했을경우는 제자리에서 추춤하는 엉성한 점프가 됩니다.
              
   3. 방향전환 점프샷

점프중에 방향을 바꿔 상대방을 교란합니다.

사용법.
- 1.무빙 점프한다.
- 2.점프중에 반대편방향키를 누른다
- 3.착지와 동시에 샷

이 경우에는..
점프중에 이미 움직이는 거리가 줄어들기 때문에  착지와 동시에 반대편방향키를 누르실 필요 없이 착지후 샷 하시면 됩니다.


 

 

---- 보충설명 part. 3 순줌 ----



순줌의 설명은 역시 지난글을 참조해 주시고..
역시 순줌의 장점을 이용한 샷방법을 제시합니다.

상황. 2인 이상의 적과 싸울시.추천

awp의 취약점은 1발을 쏜후에 다음 1발까지의 재장전 시간이 길다는 것입니다.

이 재장전의 시간을 줄이고자..
대부분의 경우 권총으로 바꾼뒤 다시 awp로 바꾸고..
줌을 땡기고.. 조준후 쏩니다.

사실 더 빠른것은 줌을 땡기고 쏠경우 타겟을 조준할때 걸리는 시간을 없에버려 재장전
시간을 없에는 것보다
재장전시간만을 필요로 하는 더욱 빠른 사격이 될수도 있을, 이방법을 추천합니다.

한명을 사살한뒤, 마우스 왼쪽 버튼은 계속 누르고 있는상태에서 다른 타겟을 정중앙에
위치 시키면... 재장전하는 시간이 지난후 자동으로 발사합니다.

이것은 순줌과 같은 원리이며.. 재장전할동안은 움직여도 상관 없되..
제장전이 끝난 시점에서는 정지하여야 합니다.
이것에 타이밍을 숙달하신다는 전제하에
제장전시간동안 요리 조리 피하다가... 아니면
숨었다가 나와서 쏠수도 있고..
등등에 꽤나 실용성이 있을줄로 믿습니다.

 

 

 

---- 보충설명 part .4 끌어치기 ----



다른것과 마찬가지이지만.. 끌어치기는 특히더.. 연습과 연습으로 이룬.. 감이
샷빨을 결정합니다.

때문에 거두절미 하고 움직이는 표적에 대한 끌어치기 요령을 한가지 말씀드리겠습니다.
좌에서 우로 움직이는 타겟을 끌어치기 하려 할때..
내 마우스의 움직임을 좌에서 우로 끌어치기 해주시는겁니다.
이것은 내 에임이 상대방의 몸 위에 위치하는 시간을 보다 길게 만들어 명중률을 높히는효과가 있죠..
반대로 좌에서 우로 움직이는 적을 우에서 좌로 끌어치기 해주면..
적의 몸과.. 내 에임이 일치하는 순간포착을 하기가.. 매우 어렵게 되는겁니다.



 

---- Tip

마지막으로 조작방법에 대한 간단한 팁을 말씀드리고 끝내겠습니다.

1. 줌
줌을 사용함에 있어 마우스 오른쪽 버튼을 클릭하시는데..
2번 줌을 사용하실때에.. 오른쪽 버튼 2번 클릭이 아닌 오른쪽 버튼을 그저.. 누르고만 있게되면.. 최단시간으로 2번 땡겨집니다..
물론 계속 누르고 계신다면.. 다시 초기 상태로 되었다가.. 한번땡기고.. 두번땡기고를..반복하게되죠.

2. 재장전후 줌
권총으로 바꾼다음.. awp로 전환하여 사격할때 또한..
awp로 바꾸자마자 마우스 오른쪽 버튼을 누르면..
딜레이때문에 줌이 땡겨지지 않습니다..
이럴때.. 역시.. 오른쪽 버튼을 누르고 있게되면 최단시간내에 줌이 땡겨지므로..
다음 사격때 까지의 시간을 최소화 할수 있습니다.

 

 

출처 - www.narics.net (저작자 : A-Tom)

댓글을 남기시려면 로그인 해주세요
댓글 : 2
  • 좋은전략이네요 잘보고갑니다 Lv. 1 PuRpLe가든 2012.06.05
  • 제가 삼국지케릭 할떄 인페르노 골목길에서 에땁쩌는 광경을보고 멋져서 배우기시작했죠 지금은 잘쏘진못하지만 예전보단 많이좋아졌어요.ㅎㅎ 키노님이 하신말씀기억나네요 에땁은 적응되면 라이플보다쉽다고.ㅎㅎ Lv. 1 Xmas루딘 2008.07.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