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게시판

 


종류   돌격소총

구경   5.56mm

탄약   5.56mmX45mm NATO(k-100)

강선   6조우선, 7.3인치에 1회전

장탄   20/30발들이 STANAG(M-16)탄창

작동방식   롱스트로크 가스피스톤방식, 회전노리쇠방식

총열길이   465mm

전장   970mm(개머리판 접었을때 730mm)

중량   탄창 없이 3.26kg

발사속도   연사-700~900발(분당), 점사-45~65발(분당)

총구속도   920m/s(k-100), 960m/s(km193)

유효사거리   600m(k-100), 460m(km193)

최대사거리   2400m

 

 

오늘은 우리나라 보병의 기본화기인 k-2에 대해서 몇글자 적어봅니다.

아직군대를 안다녀온 관계로 실제와 다르면 마음껏 지적해주세요.

 

이총은 대우정밀에서 면허생산하던 M16A1을 대체하기 위해서 국방과학연구소(ADD)에서 개발하였다고 합니다.

1972년 박정희대통령의지시에따라 XB소총 개발계획이 ADD주관으로 진행되어 1977년부터 XB-1부터 XB-6까지

6가지 시험용소총이 개발되었는데 그중 XB-6이 양산형으로 결정되어서 개량을 가한 후에 k2라고 명명 하였다고합니다.

 

초기에는 FN-FAL과 유사한 접철식 개머리판과 고정식 개머리판 두가지모델이 시험생산되었는데 무게와 생산단가 덕분에

플라스틱 접철식 개머리판으로 대체되었다고 합니다.

 

일단 이총은 AK의 롱스트로크 가스피스톤 방식과 M16계열의 회전노리쇠 방식이 채용되었다고 합니다.

출처는 위키백과입니다.

롱스트로크 가스피스톤 방식은 스트로크가 크게 왕복하기때문에 반동이크고 연사시에 정확도가 떨어집니다.
하지만 신뢰성이나 유지보수는 쉽지요.

 

회전노리쇠방식은

이런형식입니다.(사진출처 위키백과)
 
 
원형 가늠쇠 울과 가늠자의 구멍을 맞추는 동심원리이기 때문에 M16계열보다 조준이 빠르고 정확합니다.
그리고 자체발광 가늠쇠라던데 잘은 모르겠습니다.(미성년자인지라)
 
그리고 K1과 아랫몸통이 호환된다고도 하는데 모 게시판 분들 말로는 호환이 된다고 합니다.
결합까지는 된다고 하시더군요. 이는 전시에 총이 손상되었을때 다른방법으로라도 사격이 가능하게 설계되어서 그렇다고 합니다.
(그분 말씀으로는 실사격은 안해보고 약실에 장전까지만 해보셨다고 하네요.)
 
 
현재 미국으로 반자동형식인 MAX-2,AR-100,DR-200,DR-300이 수출되고 있습니다.그중에서 DR-300은 AK-47용 탄약인
7.62X39mm탄을 사용한답니다. 평가는 AR-15보다 싼 가격에 표준 나토탄을 쓸수 있는 꽤 좋은 물건이라고 합니다.
 
단점으로는
1.장전손잡이가 잘부러진다.
2.초기형의 경우는 가스조절기의 분실이 잦음
3.개머리판 연결부위 유격현상
4.탄피배출구 뒷쪽에 먼지덮개 없음
 
3번째 단점은 병사들이 거칠게 다뤄서 그렇다고 하네요.
 
결론-평가는 좋습니다. 하지만 제 생각으로는 M16처럼 개량을 좀 했으면 하네요.
 
 

장점

1. 야간 사격 가능 : 가늠쇠 울에 발광 물질이 있어 야간 조준이 가능함

2. 명중률이 높음 : M16에 비해 반동이 적어 명중률이 높음, 총열 맨끝 총구 부분에 반동을 적게 하기 위하여 오른존 잡이인 우리나라 체형에 맞추어 가스 분출구가 오른쪽 상향을 향함(명칭이 생각나지 않아 서술함) - M16은 총구를 중심으로 빙 둘러 있음, 또한 총열이 길어 회전력이 높아 공기 저항을 덜 받게 설계됨

3. 점사가 가능하여 탄의 소모를 줄임 : M16은 조정간이 안전, 단발, 연발 3종류이나 K2는 안전, 단발, 점사, 연발 4종류로 되어 있음.

4. 개머리판을 가변형으로 접어 사용할 수 있음

5. 개인별 영점 조준 편차를 정확히 맞추기 위한 클릭 수정의 정도가 세분화됨

6. 간단한 총기 손질을 위한 손질도구가 방아쇠 손잡이(권총손잡이)내 탑재

7. 기온에 변화에 따른 자동장전 대비 : 가스마개 조절 3단계

8. 신속한 조준 및 사격 : 장전 손잡이가 측면에 위치하여 조준한 상태에서 장전 가능, M16은 견착부에 장전 손잡이가 위치하여 조준한 상태에서 장전 불가능

9. 분해조립이 매우 쉬움 : 간단한 기능배제에 대한 신속한 응급처치가 가능하여 고장시 간단하게 수리 가능

 

단점

1. 중량이 무겁고, 크기가 커서 백병전 / 기습 작전에 불리함

2. 소총 휴대 손잡이가 없어져 휴대시 불편

3. 장기간 사용시 총몸 후미에 노리쇠 뭉치 충격부 원형의 균열 현상 발생(약 10년 사용시)

4. 개머리판 가변에 따라 기습 작전시 기도비닉에 불리 : 고정이 잘 안됨

5. 멜빵고리 연결부가 오른손 잡이용으로 제작되어 왼손잡이나 왼쪽으로 메기에 불편함

 

 

1.K1(기관단총)

 

2.K2(어썰트 라이플)

양산모델입니다.

종류 돌격소총
구경 5.56 mm
탄약 5.56 x 45 mm NATO (K-100)
강선 6조 우선, 7.3인치에 1회전
장탄 20/30 발 들이

STANAG (M16) 탄창

작동방식 가스작동식, 회전노리쇠 방식
총열 길이 465 mm
전장 970mm

(개머리판을 접었을 때 730mm)

중량 3.26Kg (탄창 없이)
발사속도 분당 700-900 발 (연사시),

분당 45-65 발 (점사시)

총구 속도 920m/s(K-100), 960m/s(KM193)
유효 사거리 600m(K-100), 460m(KM193)
최대 사거리 2400m

출처:까먹었슴

 

군대가면 거의다 쏘는 총입니다.일단 장점부터 말하자면 M16a2뺨치는 명중률과 높은 관통력이 장점입니다.하지만 단점은 반동이 쌔다는것과 연발로 쏘면 명중률이 떨어지고 가장 큰 단점은 내구력이 많이 떨어진다는거죠.재가 생각하기론 내구력문재만  개선되면 우리나라 총도 다른 세계의 총들과 나란히 어깨를 견줄 수 있을꺼같습니다. 참 그리고 요즘에나온 신현버전인 '블랙K-2'는 내구력과 명중률이 맣이 개선됬다고 하더군요.

 

3.K201(유탄발사기)

 

4.K-3(다용도기관총)

 

5.K-4(유탄 발사기)

 

6.K-5(DP51, 자동권총)

 

7.대우DH380(자동권총)

 

8.KP52(자동권총)

 

9.K-6(중기관총)

 

10.K-7(기관단총)

k-7기관단총

길이: 800mm

무게: 3.5kg

탄창: 30+1발

구경: 9mm

발사속도: 700발/분

 

대우정밀에서 만든 K-7기관단총은 4년이 지난 지금 상당한 수량이 만들어졌으며 2003년 국군의날 행사 예행연습때도 여러자루 들고나온 일이 있습니다.(월간 플래툰 2003.12월호 참조)

아랫몸통은 K1기관단총의 것을 탄창삽십구가 9mm의 탄창에 맞도록 재설계하였고 윗몸통은 마운트와 악세사리 장착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K2소총의 것을 사용하였습니다. 물론 탄피배출구의 크기도 9mm에 맞게 바뀌었습니다. 소음기 부분은 MP5SD와 흡사하며 그래서 비싼 MP5SD를 사지 않고도 웬만한 커버가 가능하다고 생각합니다. 개머리판은 K1의 것 그대로 사용했는데 9mm니까 반동에 대한 염려가 적어서이겠지요.

무게중심은 탄창에 집중되어 있어서 사용하는 데 별 지장이 없다 합니다.

<script language=** src="/common/js/viewer-1.1.2.1.js"></script> <script type=text/**> var viewer_image_url = "http://blogimgs.naver.com/blog20/blog/layout_photo/viewer/"; var photo = new PhotoLayer(parent.parent.parent); photo.Initialized(); window.onunload = function() { photo.oPhotoFrame.doFrameMainClose(); }.bind(this); </script>

11.DR-21(수출용 자동소총)

몸체는 강화 플라스틱으로 만들어졌고... 특이한 불펍식입니다...불펍식은 백병전에 불리하고 고장이 잘 난다는 단점이 있지만 우리나라 고유의 격투기인 태권도가있고 차세대소총인만큼 고장률이야 당연이 해결될걸로 보인다
탄창은 m16용 고대로 쓰고... 기본으로 스코프가 달렸답니다...
스코프는 3배율...아~드뎌 우리나라에도 제대로된 불펍소총이 등장하는건가!
요즘은 스코프 기본 장착이 대세라서... 스코프는 레일위에 장착되어 있어서 다른 액세서리로 교체가 가능하죠...
고배율의 스코프나 조준이 쉬운 도트사이트로의 교체가 내 맘대로...

게다가 손잡이도 레일에 장착된거라 이것도 원하지 않으면 다른 장비로 교체 할수도 있답니다...

그리고 사진을 보면 스코프 앞쪽에 네모난 곽이 하나 달려 있는데... 그건 레이져 포인터랍니다...
그리고 사진의 왼손 엄지 손가락 바로 위의 동그런 파이프는 장전손잡이입니다...탄피배출구는 우측에만 있어 AUG처럼 왼쪽 오른쪽 바꿀 필요가 없는듯 합니다.
하지만 아무리 차기소총이라고해도 문제는 있기마련....
일단 첫번쨰문제는 탄창교환이 쪼까 번거롭다는 것인데, 이거는 클립을 이용하면 좋을거같군요....

그리고 두번째 문제는 작은 몹집에 맛지않게 무게가 꽤 나간다는겁니다. 그러나 가장 큰 문제는 이 총은 어디까지나 수출용으로 한국군에게는 지급되지 않을 거랍니다. 참 아쉬운 일이죠 이렇게 좋은총을 우리나라가 안쓰고 남에나라가 쓰다니.....

제원


길이... 78cm
총열길이... 50.8cm
무게... 3.8kg(레이저 사이트, 스코프, 빈탄창 포함)
최대유효사거리... 800m
발사속도... 800발/분

12.USAS-12(자동산탄총)

생긴건 이렇게 못생겨도 이 총은 미국에서도 총기 위험짓 클래스3을받을정도로 잔인하고 무서운 총기입니다.100m안에서 사람맞으면 시체도 없어지고 50M안에서 맞으면 방탄장갑차도 **가 됩니다.

USAS-12는 12게이지 자동연발 샷건으로, 원래 미국의 Gilbert Equipment Co에서 베이스모델이 생산된후, 대우정밀에서 그 베이스모델을 구입해 개량한것이 이 USAS-12입니다.

USAS-12는 12게이지 자동연발 샷건답게 무지막지한 파괴력을 지니는데, 그중 유명한 일화가

미국총기시험장에서 시험 마네킹을 **로 만들어 버리면서 "극악 무도한 총"이라는 낙인이 찍힌채

판매가 금지되면서 Gilbert Equipment Co가 생산을 포기하게 됩니다. 따라서 현재 USAS-12를 생산할수있는 업체는 대우정밀이 유일하고, 대우정밀이 민수용으로도 팔아볼까 하다가도 미국의 총기제한때문에 그것마저도 제제받게되었습니다.

군용으로도 팔았다는 이야기도 있는데, 한국군은 이 총기를 소지하지 않고, 프랑스군등에게 팔려갔단 이야기도 있는데 정확한건 아닙니다.

 

 

작동방식: gas operated semi-auto or selective fired
게이지: 12 (2 3/4 in shells - 70 mm chamber )
시길이: 960 mm
총렬 길이: 460 mm 
무게 5.5 kg empty, 6.2kg loaded with 10 rounds
장전수: 6 발 바나나 탄창 또는 10 발 박스형 탄창 또는 20 발 드럼통 탄창

13.KNR(차세대소총)

 

일 막을 내린 지상군페스티벌에서 육군의 중기사업으로 개발 중인 차기 소총이 공개됐다.

공중 폭발탄(20㎜) 5발과 소총탄(5.56㎜, 20mm에어버스트탄) 20~30발을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이중 총렬’로 이뤄진 차기소총에는 레이저 거리측정기·탄도 컴퓨터로 구성된 정밀 사격통제장치가 장착돼 있다.

차기소총의 사격통제장치는 주간영상뿐만 아니라 야간 열상정보를 통해 표적의 위치를 식별, 주야간 정밀 사격이 가능하다. 또 공중에서 20㎜탄을 폭발시켜 파편으로 적을 공격할 수도 있어 살상력이 기존 소총보다 수배 높다.

육군은 내년말쯤 최종 완성품을 내놓은 후 2010년쯤 ‘분대화기’로 예하부대에 배치할 계획이다.

 

 

 

출처:유용원 기자의 군사세계

14.DR-200,300(민수용)

 

사거리가 200m여서 이름이 DR-200입니다.

자동화기규제법 땜시 개머리판을 비롯해서 많은 부분을 스포츠용 라이플처럼 했죠.

기본적인 스펙은 K-2와 동일하지만 연사불가, 착검불가.....정도 차이가 있읍니다.

명칭은 DR-3000인데 아마도 Dawoo Rifle의 줄임말로 보입니다.

 

또한가지 차이는 쓰는 탄이 7.62x39mm NATO탄입니다.

 

15.MAX2000

k2의 수출용 모델 MAX2000입니다. 그냥 맥스라고 부릅죠. 개머리판이 조금 색다르실겁니다.
수출할때 제한이 있다고 하네요. 뭔지는 모르겠지만 그래서 접이식 에서 고정식으로
바뀌게 됬죠.저한테는 진짜 멋있어 보인다는... 주로 중동에 수출을 하고 미국이나 유럽에도 수출을
한다고 알고 있습니다. k2를 아는 미국인들은 개머리판을 접이식으로 쓴다네요. ㅋ 그리고 주방위 군에서
극소수가 사용한다고 들었습니다. 저렇게 스코프를 달아서요. 이미 카운터 스트라이크 '스킨'(아시는분 있을듯)
에 미국인이 만든 맥스2000 스킨이 있습니다. 그리고 k1도 있죠.
자랑스런 대한민국 이라는거~
 
나머지는 나중에 써주껬3
<script language=** src="/common/js/viewer-1.1.2.1.js"></script> <script type=text/**> var viewer_image_url = "http://blogimgs.naver.com/blog20/blog/layout_photo/viewer/"; var photo = new PhotoLayer(parent.parent.parent); photo.Initialized(); window.onunload = function() { photo.oPhotoFrame.doFrameMainClose(); }.bind(this); </script>

댓글을 남기시려면 로그인 해주세요
댓글 :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