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게시판

자유게시판 [자유게시판]
하이테크놀로지
2020.12.15 20:52 조회 : 699
Lv. 131 하Ol테크김청랑 hitechnology 작성자 게시물 더보기

콘셉트 커뮤니케이션

하이테크

Hi-Tech ]

하이테크는 하이테크놀로지의 약칭으로 최첨단 기술로 빠른 비트와 다양한 물성()을 실현하며 현시대를 대변한다.

최첨단 과학기술

하이테크는 하이테크놀로지(Hi-technology)의 축약어로 고도의 과학을 첨단 제품의 생산에 적용하는 기술 형태를 통틀어 이르는 말이다. ‘고급 기술’, ‘첨단 기술’, ‘컴퓨터’ 등이 통신 기술과 연합하면서 제품 디자인은 극도로 세련되고 번쩍거리는 느낌을 준다.

1960년대부터 시작된 하이테크의 근원은 러시아 구성주의와 이탈리아 미래주의에서 찾을 수 있다. 이 예술 사조들은 속도와 역동성, 테크놀로지, 기계 등에 확고한 믿음을 두고 회화, 조각, 건축, 패션, 인테리어, 영상, 음악, 그래픽디자인 등 다양한 분야에서 도전성과 실험성을 선보였다.

사회는 기술의 역사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어떤 도구를 사용하느냐에 따라 그 사회의 구성이 달라졌기 때문이다. 인간은 정착하면서 기술이 더욱 고도화했다. 그러다 보니 점차 소통 수단이 곧 내용으로 인식되는 경향이 있다. 마셜 매클루언이 “미디어가 메시지다”라고 언급했듯이 미디어 기술이 곧 메시지가 되어 우리의 감각을 확장하고 메시지를 전달한다. 이제 사람들은 메시지의 내용보다 기술의 변화에 더 집중하는 시대에 살고 있는지도 모른다.

다양한 물성의 조화

테크노란 용어는 사실 오래전 전자 음악에서 사용해 왔다. 일명 ‘테크노 뮤직’이라 부른다. 이 음악의 특징은 같은 음의 반복 리듬을 만들어 내고, 매우 강하고 격렬한 기계음을 내는 것이다. 빠른 반복 음은 사람들에게 중독성을 만들고 댄스에 적합하다. 지금도 클럽 음악, 댄스 음악 등의 장르로 신시사이저, 컴퓨터로 작곡된 노래와 음악이 산출되고 있다.

패션은 첨단 소재의 기술적 발전으로 의복 형태에도 변화를 가져와 단순하고 현대적 감각의 기능주의 패션을 확산시켰다. 특히 주 5일 근무와 수업이 시작되면서 현대인들에게 여가와 취미 생활은 더욱 활기를 띠게 되었다. 아웃도어 의류들이 인기를 끌면서 등산복, 캠핑, 사이클 등의 레저, 스포츠 의류가 첨단 소재로 고급화했다.

하이테크는 기계화, 미래 지향적 이미지로 전자제품 광고의 단골 콘셉트다. 스마트폰, 카메라, 내비게이션 등의 제품 광고 영상에는 3D 공간에 빛과 우주공간, 가상공간을 연출하여 영화적 기법으로 제품의 기술을 보여 준다. 블랙 배경에 레이저빔 효과나 3D 카메라 디스플레이는 최첨단 기술력을 시각화한다. 또한 요즘 사람들은 세상을 디지털 디스플레이를 통해 보는 시간이 많아져 투명 소재가 하이테크 소재로 각광을 받고 있다. 제품들은 점차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가 됨으로써 더욱 투명 소재가 하이테크놀로지 이미지와 맥락을 같이한다.

건축물에서도 하이테크의 콘셉트 이미지는 18세기 말, 산업혁명 이후 산업의 급속한 발달과 과학기술의 진보로 발전하였다. 모더니즘으로 향하는 과정에서 과학 사상과 산업혁명은 건축가에게 이전의 장인()들에 의한 보수적 건축이 아니라, 엔지니어들의 손에 의한 건축 세계가 열리게 해 주었다. 과학기술의 발달과 합리주의에 입각한 정신으로 기계 미학, 신재료, 대량생산으로 새로운 건축물이 세워졌다. 하이테크 건축 이미지는 건축물의 구조 시스템이 그대로 드러난 기계적인 특징을 가지고 있다. 소규모 점포의 실내장식에서도 철, 발광 소재, 금속, 투명 합성수지 등을 사용하거나 실제 전기 기술을 이용하여 빛을 내뿜는다.

제품 디자인은 실제 기능 면에서도 기술이 실용적이어야 한다. 허먼 밀러(Herman miller)사는 미국의 의자, 시스템 가구, 사무용 가구, 소품, 인테리어 가구까지 다양한 제품을 만드는 회사다. 허먼 밀러의 ‘세일의자(SAYL, 2010)’는 프레임이 없는 서스펜션 등받이 방식이다. 서스펜션(suspension)은 충격 흡수 장치다. 이 의자는 사용 방식에 따라 다양한 장력에 반응하는 기술과 소재로 일체형 보디로 부품, 소재, 무게 등을 획기적으로 줄인 점이 특징이다.

<그림 21> 허먼 밀러의 세일의자(SAYL, 2010)

<그림 21> 허먼 밀러의 세일의자(SAYL, 2010)출처: www.hermanmiller.com/

캐나다 미디어학자 마셜 매클루언(Marshall Mcluhan, 1911∼1980)이 얘기한 것처럼, 새로운 미디어 기술들은 우리의 감각을 확장시킨다. 감각의 확장은 우리의 사고와 행동의 유형을 변화시킨다. 그러므로 우리의 환경도 변화하고 바뀌는 것이다. 하이테크는 현재 한 가지 물성()에서 여러 물성의 혼합, 한 가지 장르에서 여러 장르를 혼합한 다양한 형태로 발전하고 있다. 앞으로도 끊임없이 진화하는 하이테크는 다양한 스타일로 우리의 감각을 대신하며 소통할 것이다.

참고문헌

  • 기장도(2009년) 하이테크건축 설계요소의 환경 친화적 변화에 관한 연구: 1960년대부터 현재까지의 하이테크건축을 중심으로 세종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 남경태(2006년) 『개념어사전』. 들녘.
  • 성현지(2005년) 하이테크 건축을 응용한 의상디자인 연구: Santiago Calatrava’s 작품을 중심으로, 계명대학교 예술·디자인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 월간미술(1999년) 『세계미술용어사전』. 월간미술.
  • 이재정 · 박은경(2004년) 『라이프 스타일과 트렌드』. 예경.
  • 패션전문자료편찬위원회(1997년) 『패션전문자료사전』. 한국사전연구사.
  • 한국 디자인 진흥원(2013년) 2014 DESIGN TREND CODE. 산업통상자원부 및 한국디자인진흥원에서 시행한 ‘디자인전략정보개발사업’의 연구결과 보고서.
  • 황영하(2004년) 하이테크 제품 광고의 정보량과 신기능 제시 유무에 따른 광고 효과. 중앙대학교 신문방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 斗山東亞百科事典硏究所 編(2002년) 『두산세계대백과사전』. 두산동아.

출처

제공처 정보

『콘셉트 커뮤니케이션』은 정보를 전달하는 자와 전달받는 사람들이 서로 빠르고 정확하게 소통을 하기 위해서는 서로의 콘셉트에 대한 이해가 중요하다. 콘셉트는 소통의 집을 짓기 위해서 선택해야 하는 초석... 자세히보기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 등에 따라 법적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외부 저작권자가 제공한 콘텐츠는 네이버의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 하이테크 [Hi-Tech] (콘셉트커뮤니케이션, 2014. 4. 15., 이현영)

댓글을 남기시려면 로그인 해주세요
댓글 : 4
  • 하텤팸이나 살리라 쿠쿠 망겜 Lv. 177모바일에서 등록리고네틱 2020.12.16
  • 짜댕이네 ㅋㅋ Lv. 25비매가뭐가나빠 2020.12.16
  • 찐이 아니라 기믹인듯 Lv. 1모바일에서 등록서래기C 2020.12.15
  • 너 저작권 무단 이용한거 아니냐?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Lv. 45보브캣 2020.12.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