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의 전함은 전부 다 전폭이 33미터 이하. 파나마 운하를 건너기 위해 전폭을 33미터로 제한해야 했기 때문이다. 아이오와급은 거의 운하 가장자리에 닿을까말까 할 정도라 파나마 운하 출입시 별도의 안내선과 안내차량을 운하의 양측에 대동하고 기어가는 속도로 간신히 운하를 통과한다.
흘수 : 11.33m
추진 시스템 : 스크류 4기
제너럴 일렉트릭 기어 터빈+밥콕 * 윌콕스 보일러 8기.
출력 212,000마력!(158,000 kW)
현재 니 미 츠급 항공모함을 제외한 모든 함선의 출력을 능가하는데다가 과부하를 걸어 최대 출력으로 높이면 25만4천 마력(!)까지 가능하며 이때는 35노트까지 가능하다. 이 상태에서는 만재배수량으로 채워도 31노트의 속도를 낼수도 있다.
속도 : 31 노트 (=57 km/h)
최고속도 : 35 노트 (=65 km/h). 일반배수량일 때 한정
항속 거리 :
15 노트(28 km/h)일 때 14,890마일 (=23,960km)
20노트 (37 km/h)일 때 11,700마일 (=18,820 km)
승선 인원:
제2차 세계대전 한국전쟁, 베트남전
2,700명(사관 포함)
1980년대 1,800명(사관 포함)
전자전 장비 및 기만체계
1980년대 AN/SLQ-32(V) AN/SLQ-25 닉시 Mark 36 SRBOC
무장
제2차 세계대전 한국전쟁, 베트남전 시기 마크7 16인치(406 mm) 50구경장 3연장 함포 3터렛 총9문 마크12 5인치(127 mm) 38구경장 2연장 함포 10터렛 총20문 40 mm 보포스 대공포 80문 20 mm 오리콘 대공포 49문
대공포를 떡칠한 이유는 태평양 전쟁 당시의 일본의 미칠듯한 가미카제 때문. 이 덕에 태평양 전선에서 무모한 자살공격을 가해오는 일본 항공기를 보다 수월하게 격추시킬 수 있었다.
아이오와급 전함들은 한때 가장 강력한 포탄을 가지고 있었다. 바로 16인치 핵 포탄 Mk.23, 보통 "Katie" 라고 부르며, 1953년에 개발이 시작되어 1956년에 완성되어 총 50발 정도가 제작되었다. 1발당 위력은 히로시마에 투하한 원자폭탄 수준인 15~20kt 정도다. 참고로 사진의 폭발장면은 위력이 동일한 야포 포탄형 원자폭탄인 W-9의 발사실험 장면이다. (Battleships - United States battleships,1935-1992" by William H Garxke,Jr. & Robert O Dulin,Jr., Naval Institute Press, 1995)
핵포탄의 발사를 위해 개발 당시 퇴역상태인 미주리를 제외한 나머지 3척이 개장되었고, 핵포탄의 발사는 2번 포탑에서 하며, 핵포탄 전용의 탄약고를 설치하고 약 10여발 전후를 각 함마다 저장했다. 이후 전략공군의 발전과 ICBM의 개발 등으로 MK.23은 1962년에 최종적으로 철거되었는데, 일설에 의하면 이후에도 한동안 전략예비탄으로 보관했다고 한다.
실전과 훈련을 통털어서 실탄인 Mk.23은 발사된 기록이 없고, 전용 훈련탄인 Mk.24가 1957년 2월에 푸에르토리코 근해에서 전함 위스콘신이 육상표적으로 시범사격했다는 기록이 있다.
핵포탄이 어떤 목적을 가지고 만들어졌는지는 불명확하지만, 그 당시 미국해군 전함의 임무는 육상에 대한 화력지원이므로 1차 목적은 육상목표에 대한 포격용이고, 개발 당시에는 핵포탄이 항공폭탄보다 명중도가 압도적으로 높고 기상의 영향을 별로 받지 않으므로, 함대간 전투에서도 사용하려고 한 것으로 예측한다.
사실, 급하면 2번 포탑의 주포 3문에 핵포탄을 장전하고 일제사격만 해줘도, 적 함대에게는 지옥이 따로 없을 것이 눈에 선하다. 물론 발사한 쪽도 어느 정도 피해를 입겠지만...
아마 이것이 전함이 마지막으로 전략 무기였던 시기일 것이다.
이정도 입니다. 그리고 여기에 왜 이런거 올리냐고 하시는 분들있으시는데 여기는 군사정보 커뮤니티 입니다 군사정보요 그러니까 제발 욕좀 하지마세요 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