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게시판

자유게시판 [자유게시판]
개남이 병명알려줌
2012.08.22 17:58 조회 : 194
Lv. 19 파브c 가입된 패밀리가 없습니다. 작성자 게시물 더보기

가-피학증[ SADOMASOCHISM ]

글자크기

정신 안에 가학적이고 피학적 소망, 환상 그리고 욕동 파생물이 공존하는 상태를 가리키는 용어. 이것들은 성격 특성으로 나타나기도 하고 정상적인 것에서부터 도착적인 것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형태의 성적 행동으로 나타나기도 한다. 성적 관계에서 신체적 고통이 필수적이 될 경우, 가학증피학증은 성도착으로 간주된다.

프로이트는 이 개념을 성도착의 범위 이상으로 확장했다. 많은 종류의 행동이 의식적무의식적 가-피학적 만족과 관련되어 있다: 놀려주기, 풍자, 익살, 비방 그리고 모든 종류의 수동적 공격성. 도덕적 피학증은 무의식적 죄책감으로부터 고통 받거나 벌을 받아야 한다고 느끼는 피학증을 말한다.

가학증(그리고 피학증)은 심리성욕 발달의 구강-가학적 단계인 6개월에서 2세 사이에 두드러지게 나타난다. 이가 날 때 느끼는 고통스런 쾌락은 깨무는 것을 통해서 좌절과 분노를 방출시키는 새로운 경험과 연결됨으로써 일생 동안 지속되는 구강 가학적 방출 양식을 형성한다. 이 구강 가학증은 퇴행한 상태나 성적 전희에서 실제로 깨무는 행동으로 표출되기도 하고, 또는 다른 사람을 놀리거나 풍자하는 말에서 표현되기도 한다. 구강 가학적 잔여물의 성질과 강도는 이가 나는 시기, 뼈의 구조, 대상관계의 질 그리고 정신적 갈등을 다루기 위해 유아가 사용하는 적응 기제 등의 요소들에 달려 있다.

그 다음에 오는 항문-가학적 단계는 가-피학증을 조직하는데 지배적인 역할을 한다. 항문 성욕은 괄약근을 통제할 수 있게 되면서 그 강도가 더해진다. 그리고 공격성과 성애적 만족이 융합되는 배변 행동은 가학적 소망의 방출을 위한 전형이 된다. 이제 아동은 쾌락적이며 통제할 수 있는 내적 고통을 만들어내기 위해 대변을 보유하게 되는데, 이것은 새로운 피학적 선택을 나타낸다. 이때 선천적 요소들은 다시금 환경적 요소들과 결합하여 성격 발달에 영향을 미치는 고착의 성질과 강도를 결정한다. 배변 훈련의 시기와 성질, 설사제와 관장제의 사용 그리고 배변 활동에 대한 처벌은 모두 중요한 역할을 한다. 여기에서도 심리내적 갈등을 처리하기 위해 어떤 방어들이 사용되는가가 가장 중요한 결정 요인으로 작용한다.

 

 

니 사도마조히즘이요 ㅇㅇ 우리가 욕하면 좋아해요 친절하게 대해줘야 빡침

가학증과 피학증 중 어느 것도 무의식 안에서는 따로 존재할 수 없다. 가학적 성**는 대상을 상처 입힘으로써 쾌락을 얻는 동시에 그 대상과 동일시함으로써 대리적인 피학증적 쾌락을 얻는다. 가학적 성**는 또한 자신의 가학적 쾌락에 대한 처벌을 예상하거나 유발할 수도 있다. 유사하게, 피학적 성**는 상대방에게 죄책감을 불러일으킴으로써 자신에게 고통을 주는 사람을 벌할 수 있다. 가-피학증적 성도착의 경우, 파트너들은 종종 가학적 역할과 피학적 역할을 교대로 맡기도 한다.

가학증과 피학증 안에는 쾌락과 고통 그리고 성적 욕동과 공격적 욕동이 혼합되어 있다. 그 둘 사이의 차이는 욕동이 가학증에서 자기 밖의 대상을 지향하고 피학증에서 자기를 지향하는 데 있다. 정신분석 이론에서 가학증과 피학증은 리비도적 및 공격적 욕동의 융합을 나타낸다. 프로이트는 일차적으로 존재하는 피학증이 자기 바깥으로 투사되어 가학증이 된다고 보았다. 일차적 상태가 어떤 것이었든지 간에, 나중에 징후로 나타나는 가학증과 피학증은 일련의 복잡한 내재화와 외재화의 과정을 거쳐 형성된 결과물이다.

댓글을 남기시려면 로그인 해주세요
댓글 : 1
  • 친절하게 대해줘야 빡친데 ㅋㅋㅋ Lv. 1Kneif 2012.08.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