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지션 플레이라 함은, 일정한 지역을 경계 함에 있어 정찰(patrol)과 은신(Camp)를 병용해서 적의 공격을 차단 하는 플레이를 뜻한다.
포지션 플레이는 크게 고정포지션 플레이 와 유동포지션 플레이로 구분된다. 유동 포지션 플레이를 이해 하기 위해선 고정포지션 플레이의 개념이 미리 설정 되어야 하므로 고정 포지션 플레이에 대해선 먼저 짚고 넘어가고자 한다.
<고정포지션 플레이>
연혁 : 고정포지션 플레이는 초기 카스유저들이 주로 썼던 팀플레이 전술로써,최근 까지 아시아지역과 한국에서 애용돼 왔던 전술이었다. 하지만 2001년 WCG 세계대회에 참여한 미주 지역과 유럽의 카서들의 새로운 전술(유동 포지션 플레이)를 접하게 된 아시아의 카서들은 고정 포지션 플레이의 한계를 절감하고 유동포지션 플레이로의 전향 내지 변용을 선택하게 된다.
개념 : 고정포지션 플레이는 맵을 전체 인원으로 균분하여 주요 목지점을 각자 전담하는수비 방식을 의미 한다. 예를 들면 dust 맵에서는 일반적으로 b 지점 안쪽에 CT가 두명정도 포진 하고 중간 터널 쪽에 한명, 좌측 터널코너 부분에 한명, 그 후방 2층 베란더 한명 이런식으로 영역을 구분 하는 것이다.
핵심포인트 :
1) 팀원들이 자기 팀원의 위치를 정확하게 인지 하고 있어**다 2) 레이더 와 라디오 메시지등 을 통해서 팀원간의 의사소통이 지속되어야 한다. 3) BAck up 플레이는 밀어내기 방식으로 진행되어야 한다. - 특정지역을 전담하고 있던 팀원이 공격을 당할때, 그 팀원을 지원해 주는 백업요원들은 주로 좌우 날개에 있는 팀원에 의해 이루어 져**다. 만일 특정지역으로 팀 전체가 지원을 간다면 상대방의 성동격서 전술에 쉽게 말린 위험이 있기 때문이다. 이때 백업요원이 이동한 빈 공간은 다른 팀원이 커버 해 주거나 백업요원이 맡고 있던 지역으로 위치이동을 해야 한다 (일명 밀어내기 방식 : 군대 갔다온 사람들은 이해 하시겠죠?) 4) back up 를 할때는 반드시 2인 이상이 동시에 진행하여야 한다. - 포지션 플레이는 맵 전체를 넓게 옆으로 늘어서서 막는 형상 이므로 각 끝지점에 해당 되는 팀원이 공격을 받는 경우 바로 옆에 있는 팀원이 서둘러 지원 하러 가다가 순차적으로 상대방 에게 당하는 경우가 많이 발생한다.따라서 이런 경우 침착하게 다른 백업요원이 지원올때 까지 기다리다가 시간을 정해 놓고 각자 다른 방향에서 동시에 진입해야 한다( 타이밍 러쉬 )
5) 적의 집중 공격 지점에 위치하는 팀원은 갑옷 보다는 폭탄을 우선적으로 구비해야 하며 최대한 선제공격을 자제 하면서 백업요원의 지원을 받을때까지 시간을 끄는 플레이를 해야 한다. - dust 맵에서의 플레이를 예를 든다면, b 지점을 지키는 요원들은 반드시 플레시나 고폭탄(HE) 을 구비하고 TR 가 완전히 터널을 벗어 나올때 까지 기다렸다가 플레시나 고폭탄으로 시간을 지연하는 플레이를 해야 한다. 주요지점의 경우 일시에 많은 수의 TR 들이 러쉬를 들어 오는 경우가 있기 때문에 이 지점을 수비 하는 팀원들은 최대한 자신을 은폐 엄폐 시킨 상태에서 고폭탄으로 최대한 으로 적에게 데미지를 입히던가, 플레시 을 사용하여 적의 움직임을 묶어 놓아야 한다. 물론 적을 발견하거나 소리로 적의 진입을 인식했을때에는 무엇보다 도 먼저 다른 팀원들에게 Enemy sotted 메시지를 쳐야 할 것이다. 그런 다음 적이 완전히 러쉬를 했을때 플레시나 고폭탄을 던진 다면, 다른 팀원들에게 적의 두가지 움직임에 대한 정확한 정보를 줄수 있다. 즉,적이 어느 지점으로 이동 하고 있으며 (Enemy Spotted),실제로 진입한 타이밍(Fire in the hole)에 관한 정보를 주는 것이다.
6) 변경된 방어영역에 대한 정확한 인식을 하고 있어야 한다. - 경기가 진행 될수록 팀원의 수는 줄어 들기 마련이다. 따라서 초기에 5명이 맵 전체를 넓게 지켜 오던 섹터 개념은 곧 무너지게 된다. 시간에 감에 따라 희생자가 늘어나고 그러다 보면 팀원은 4명, 3명, 또는 일시에 2-3명 이런식으로 줄어 들게 되므로 생존자 중심으로 다시 맵의 섹터를 나누어야 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팀 리더는 희생자가 발생한경우 전체 지역을 다시 균분해서 팀원의 위치 조정을 해주어야 한다. 물론 팀원 각자가 스스로 변경될 위치를 사전에 인지 하고 있다면 두말할나위 없이 좋다.
7) 소리나지 않게 그러나 지속적으로 움직여라 - 카스는 숨어 있는 사람에게 유리한 슛팅게임이 아니다. 어느정도 숨을수 있는 공간이 뻔하기 때문이다. 그리고 매치에 상당히 익숙한 Tr들은 이미 그러한 지점에 예사(예측사격)을 하면서 나오기 때문에 가만히 머리만 내밀고 숨어 있다가 총 한방 쏴 ** 못하고 죽는 경우가 많이 발생한다. 따라서 능숙한 CT 라고 한다면 한 자세로 숨어 있는 경우에도 몸을 계속해서 움직여야 하며(약간 떤다는 느낌이 맞을 것이다) 패트롤 하면서 지속적으로 주요 지점을 체크 하는 플레이를 해야 되는 것이다. 물론 주요 러쉬 지점에 있는 CT 는 사운드에 만 의지하고, 완전히 몸을 숨기는 것도 좋은 방법이다.
고정포지션의 단점 : 1) 고정포지션은 팀원 각자의 개인기가 많이 요구 되는 플레이이다.
2) 팀 러쉬 위주의 공격에 상당히 약한 전술이다.
3) 팀간에 개인기 차이가 나는 경우에게는 효과적이지 못한 전술이다.
4) 팀원 한두명의 컨디션 상태에 따라 전력이 크게 변동된다.
고정포지션의 장점 : 1) 실력향상(전문성)에 기여 하는 바가 크다.
2) 동시다발적 공격에 효과적으로 대처 할수 있다.
실전적용 : 팀리더 유의사항 1) 팀리더는 경기전 경기 맵의 영역을 세분 하여, 팀원을 배치해야 한다. 2) 경기중 변경될 영역을 팀원들이 충분히 숙지하고 있어야 한다. 3) 주요 지점을 지키는 팀원들은 경기전 집중적인 위밍업을 시켜야 한다.( 3:2 정도로 팀을 나누어서 계속적으로 주요지점을 러쉬 해 들어 간다) 4) 백업루트를 사전에 정해 놓아야 한다. 5) 모든 작전명령을 암호화 하고 팀원들이 숙지 하도록 한다.
팀원 유의사항 1) 적의 움직임을 파악하는것이 제일 중요한의 임무이다. 2) 자신이 인지한 정보는 팀 동료들에게 계속적으로 알려 줘야 한다. 3) 최선을 다해서 맡은 영역을 방어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