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대학등록금이 미국의 뒤를이어 세계 2위를 차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경제협력개**구(OECD)는 지난 13일(파리 현지기준) ‘2011년 OECD 교육지표’ 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조사 결과에 따르면 한국의 국공립 대학교 및 대학원(석사)의 연평균 등록금은 5315달러(환화 약 580만 원)로 미국 6312달러(환화 약 690만 원)에 이어 두 번째로 높은 등록금 수치를 보였다. 영국이 4840달러(환화 약 520만 원)로 3위를 차지했고, 4602달러(환화 약 490만 원)인 일본이 그 뒤를 이었다. 반면 체코, 덴마크, 핀란드, 아일랜드, 아이슬란드, 멕시코, 노르웨이, 스웨덴 등 복지국가로 익히 알려진 나라들은 등록금이 없는 것으로 조사됐다. 한국의 사립대·대학원 등록금 또한 연평균 9586(한화 약 1061만 원)달러로 미국에 이어 세계 2위를 기록했다. 우리나라의 GDP(국내총생산)대비 공교육비 비율은 7.6%로 OECD 평균인 5.9%보다 1.7%p 높게 나타났다. 이 가운데 정부부담은 4.7%, 민간부담은 2.8%로 OECD 평균 정부부담 5.0%, 민간부담 0.9%에 비해서는 민간부담이 여전히 높은 수준인 것으로 확인됐다. 고등교육단계 공교육비를 살펴보면, 정부재원이 22.3%, 민간재원이 77.7%로 3배 이상 차이가 났다. 반면 OECD 평균은 정부재원이 68.9%, 민간재원이 31.1%로 정부가 민간보다 2배 이상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우리나라 고등교육 민간재원 비중은 칠레(85.4%) 다음으로 높았다. 한편, 이번 조사는 OECD 회원국 34곳·비회원국 8곳 등 모두 42개 나라를 대상으로 진행됐다. |
어익후 ㅅㅂ 우리나라 OECD에서 나쁜거 상위는 다차지하네 그러면서 수치를보여? 당연한거 아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