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게시판



DNA tests on British prehistoric mummies revealed they were made of body parts from several different people, arranged to look like one person.

The four bodies discovered in 2001 on South Uist, in Scotland's Outer Hebrides were the first evidence in Britain of deliberate mummification.

It is thought the body parts may have come from people in the same families.

Sheffield University's Prof Mike Parker Pearson said the mummies had not been buried straight after preservation, BBC reported in its website on Monday.

A team from the University of Sheffield first uncovered the remains of a three-month-old-child, a possible young female adult, a female in her 40s and a male under the prehistoric village of Cladh Hallan.

But recent tests on the remains carried out by the University of Manchester, show that the "female burial", previously identified as such because of the pelvis of the skeleton, was in fact a composite.

It was made up of three different people, and some parts, such as the skull, were male.

Radiocarbon dating and stable isotope ****ysis showed that the male mummy was also a composite.

Prof. Parker Pearson, an expert in the Bronze Age and burial rituals has a theory about why the mummies were put together this way.

"These could be kinship components, they are putting lineages together, the mixing up of different people's body parts seems to be a deliberate act," he said.

"I don't believe these 'mummies' were buried immediately, but played an active part in society, as they do in some tribal societies in other parts of the world."







신체 절단해 하나의 몸으로…英서 독특한 미라 발견

영국에서 가장 오래된 것으로 알려진 미라 4구가 사실은 절단된 시신 일부가 조합된 독특한 형태로 매장된 것이라는 사실이 밝혀져 학계의 관심이 쏠리고 있다.

이 미라는 2001년 스코틀랜드 아우터헤브리디스(Outer Hebrides)에서 발견한 것으로, 생후 3개월 된 영아, 젊은 여성, 40대로 추정되는 남녀의 유골로 추정됐다.

당초 연구팀은 유골 한 구를 조사한 결과 여성의 것으로 추정했지만, 최근 맨체스터대학 연구팀이 방사선탄소를 이용한 연대측정과 DNA검사를 실시한 끝에 유골 한 구에서 여성의 골반과 남성의 머리가 마치 원래부터 한 몸이었던 것처럼 매장됐다는 사실을 밝혀냈다.

이렇게 조합된 미라들은 청동기시대 매장 방식처럼 대부분 웅크린 형태로 발견됐다.

연구를 이끈 영국 셰필드대학교의 고고학전문가 마이크 파커 퍼슨 박사는 “각각의 미라에서 날카로운 것에 몸이 절단된 흔적들을 발견했다.”면서 “한 사람의 모습 같지만 사실은 신체 일부분들이 조합돼 하나의 미라가 된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신체 부위가 조합된 미라들은 서로 혈통관계를 가지고 있으며, 페루 인근에서 발견되는 유골들과 비슷한 점을 보인다.”고 덧붙였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이들 미라의 뼈에서는 시간이 지날수록 탈염(염분이 제거)된 흔적이 나타나며, 이는 미라로 만들기 전 습지에 시신을 몇 년간 묻어뒀다가 꺼내는 매장 풍습 때문인 것으로 추측된다.

전문가들은 이 미라가족의 독특한 매장방식은 부족사회에서의 특이한 행동양식을 나타내며, 이번 연구가 선사시대에 영국에 살았던 사람들의 삶과 죽음을 재정비 할 수 있는 기회가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DNA tests on British prehistoric mummies revealed they were made of body parts from several different people, arranged to look like one person.

The four bodies discovered in 2001 on South Uist, in Scotland's Outer Hebrides were the first evidence in Britain of deliberate mummification.

It is thought the body parts may have come from people in the same families.

Sheffield University's Prof Mike Parker Pearson said the mummies had not been buried straight after preservation, BBC reported in its website on Monday.

A team from the University of Sheffield first uncovered the remains of a three-month-old-child, a possible young female adult, a female in her 40s and a male under the prehistoric village of Cladh Hallan.

But recent tests on the remains carried out by the University of Manchester, show that the "female burial", previously identified as such because of the pelvis of the skeleton, was in fact a composite.

It was made up of three different people, and some parts, such as the skull, were male.

Radiocarbon dating and stable isotope ****ysis showed that the male mummy was also a composite.

Prof. Parker Pearson, an expert in the Bronze Age and burial rituals has a theory about why the mummies were put together this way.

"These could be kinship components, they are putting lineages together, the mixing up of different people's body parts seems to be a deliberate act," he said.

"I don't believe these 'mummies' were buried immediately, but played an active part in society, as they do in some tribal societies in other parts of the world."







신체 절단해 하나의 몸으로…英서 독특한 미라 발견

영국에서 가장 오래된 것으로 알려진 미라 4구가 사실은 절단된 시신 일부가 조합된 독특한 형태로 매장된 것이라는 사실이 밝혀져 학계의 관심이 쏠리고 있다.

이 미라는 2001년 스코틀랜드 아우터헤브리디스(Outer Hebrides)에서 발견한 것으로, 생후 3개월 된 영아, 젊은 여성, 40대로 추정되는 남녀의 유골로 추정됐다.

당초 연구팀은 유골 한 구를 조사한 결과 여성의 것으로 추정했지만, 최근 맨체스터대학 연구팀이 방사선탄소를 이용한 연대측정과 DNA검사를 실시한 끝에 유골 한 구에서 여성의 골반과 남성의 머리가 마치 원래부터 한 몸이었던 것처럼 매장됐다는 사실을 밝혀냈다.

이렇게 조합된 미라들은 청동기시대 매장 방식처럼 대부분 웅크린 형태로 발견됐다.

연구를 이끈 영국 셰필드대학교의 고고학전문가 마이크 파커 퍼슨 박사는 “각각의 미라에서 날카로운 것에 몸이 절단된 흔적들을 발견했다.”면서 “한 사람의 모습 같지만 사실은 신체 일부분들이 조합돼 하나의 미라가 된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신체 부위가 조합된 미라들은 서로 혈통관계를 가지고 있으며, 페루 인근에서 발견되는 유골들과 비슷한 점을 보인다.”고 덧붙였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이들 미라의 뼈에서는 시간이 지날수록 탈염(염분이 제거)된 흔적이 나타나며, 이는 미라로 만들기 전 습지에 시신을 몇 년간 묻어뒀다가 꺼내는 매장 풍습 때문인 것으로 추측된다.

전문가들은 이 미라가족의 독특한 매장방식은 부족사회에서의 특이한 행동양식을 나타내며, 이번 연구가 선사시대에 영국에 살았던 사람들의 삶과 죽음을 재정비 할 수 있는 기회가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DNA tests on British prehistoric mummies revealed they were made of body parts from several different people, arranged to look like one person.

The four bodies discovered in 2001 on South Uist, in Scotland's Outer Hebrides were the first evidence in Britain of deliberate mummification.

It is thought the body parts may have come from people in the same families.

Sheffield University's Prof Mike Parker Pearson said the mummies had not been buried straight after preservation, BBC reported in its website on Monday.

A team from the University of Sheffield first uncovered the remains of a three-month-old-child, a possible young female adult, a female in her 40s and a male under the prehistoric village of Cladh Hallan.

But recent tests on the remains carried out by the University of Manchester, show that the "female burial", previously identified as such because of the pelvis of the skeleton, was in fact a composite.

It was made up of three different people, and some parts, such as the skull, were male.

Radiocarbon dating and stable isotope ****ysis showed that the male mummy was also a composite.

Prof. Parker Pearson, an expert in the Bronze Age and burial rituals has a theory about why the mummies were put together this way.

"These could be kinship components, they are putting lineages together, the mixing up of different people's body parts seems to be a deliberate act," he said.

"I don't believe these 'mummies' were buried immediately, but played an active part in society, as they do in some tribal societies in other parts of the world."







신체 절단해 하나의 몸으로…英서 독특한 미라 발견

영국에서 가장 오래된 것으로 알려진 미라 4구가 사실은 절단된 시신 일부가 조합된 독특한 형태로 매장된 것이라는 사실이 밝혀져 학계의 관심이 쏠리고 있다.

이 미라는 2001년 스코틀랜드 아우터헤브리디스(Outer Hebrides)에서 발견한 것으로, 생후 3개월 된 영아, 젊은 여성, 40대로 추정되는 남녀의 유골로 추정됐다.

당초 연구팀은 유골 한 구를 조사한 결과 여성의 것으로 추정했지만, 최근 맨체스터대학 연구팀이 방사선탄소를 이용한 연대측정과 DNA검사를 실시한 끝에 유골 한 구에서 여성의 골반과 남성의 머리가 마치 원래부터 한 몸이었던 것처럼 매장됐다는 사실을 밝혀냈다.

이렇게 조합된 미라들은 청동기시대 매장 방식처럼 대부분 웅크린 형태로 발견됐다.

연구를 이끈 영국 셰필드대학교의 고고학전문가 마이크 파커 퍼슨 박사는 “각각의 미라에서 날카로운 것에 몸이 절단된 흔적들을 발견했다.”면서 “한 사람의 모습 같지만 사실은 신체 일부분들이 조합돼 하나의 미라가 된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신체 부위가 조합된 미라들은 서로 혈통관계를 가지고 있으며, 페루 인근에서 발견되는 유골들과 비슷한 점을 보인다.”고 덧붙였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이들 미라의 뼈에서는 시간이 지날수록 탈염(염분이 제거)된 흔적이 나타나며, 이는 미라로 만들기 전 습지에 시신을 몇 년간 묻어뒀다가 꺼내는 매장 풍습 때문인 것으로 추측된다.

전문가들은 이 미라가족의 독특한 매장방식은 부족사회에서의 특이한 행동양식을 나타내며, 이번 연구가 선사시대에 영국에 살았던 사람들의 삶과 죽음을 재정비 할 수 있는 기회가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DNA tests on British prehistoric mummies revealed they were made of body parts from several different people, arranged to look like one person.

The four bodies discovered in 2001 on South Uist, in Scotland's Outer Hebrides were the first evidence in Britain of deliberate mummification.

It is thought the body parts may have come from people in the same families.

Sheffield University's Prof Mike Parker Pearson said the mummies had not been buried straight after preservation, BBC reported in its website on Monday.

A team from the University of Sheffield first uncovered the remains of a three-month-old-child, a possible young female adult, a female in her 40s and a male under the prehistoric village of Cladh Hallan.

But recent tests on the remains carried out by the University of Manchester, show that the "female burial", previously identified as such because of the pelvis of the skeleton, was in fact a composite.

It was made up of three different people, and some parts, such as the skull, were male.

Radiocarbon dating and stable isotope ****ysis showed that the male mummy was also a composite.

Prof. Parker Pearson, an expert in the Bronze Age and burial rituals has a theory about why the mummies were put together this way.

"These could be kinship components, they are putting lineages together, the mixing up of different people's body parts seems to be a deliberate act," he said.

"I don't believe these 'mummies' were buried immediately, but played an active part in society, as they do in some tribal societies in other parts of the world."







신체 절단해 하나의 몸으로…英서 독특한 미라 발견

영국에서 가장 오래된 것으로 알려진 미라 4구가 사실은 절단된 시신 일부가 조합된 독특한 형태로 매장된 것이라는 사실이 밝혀져 학계의 관심이 쏠리고 있다.

이 미라는 2001년 스코틀랜드 아우터헤브리디스(Outer Hebrides)에서 발견한 것으로, 생후 3개월 된 영아, 젊은 여성, 40대로 추정되는 남녀의 유골로 추정됐다.

당초 연구팀은 유골 한 구를 조사한 결과 여성의 것으로 추정했지만, 최근 맨체스터대학 연구팀이 방사선탄소를 이용한 연대측정과 DNA검사를 실시한 끝에 유골 한 구에서 여성의 골반과 남성의 머리가 마치 원래부터 한 몸이었던 것처럼 매장됐다는 사실을 밝혀냈다.

이렇게 조합된 미라들은 청동기시대 매장 방식처럼 대부분 웅크린 형태로 발견됐다.

연구를 이끈 영국 셰필드대학교의 고고학전문가 마이크 파커 퍼슨 박사는 “각각의 미라에서 날카로운 것에 몸이 절단된 흔적들을 발견했다.”면서 “한 사람의 모습 같지만 사실은 신체 일부분들이 조합돼 하나의 미라가 된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신체 부위가 조합된 미라들은 서로 혈통관계를 가지고 있으며, 페루 인근에서 발견되는 유골들과 비슷한 점을 보인다.”고 덧붙였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이들 미라의 뼈에서는 시간이 지날수록 탈염(염분이 제거)된 흔적이 나타나며, 이는 미라로 만들기 전 습지에 시신을 몇 년간 묻어뒀다가 꺼내는 매장 풍습 때문인 것으로 추측된다.

전문가들은 이 미라가족의 독특한 매장방식은 부족사회에서의 특이한 행동양식을 나타내며, 이번 연구가 선사시대에 영국에 살았던 사람들의 삶과 죽음을 재정비 할 수 있는 기회가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신체 절단해 하나의 몸으로…英서 독특한 미라 발견
입력: 2011.08.23 ㅣ 수정 2011.08.23 16:23
**

영국에서 가장 오래된 것으로 알려진 미라 4구가 사실은 절단된 시신 일부가 조합된 독특한 형태로 매장된 것이라는 사실이 밝혀져 학계의 관심이 쏠리고 있다.

이 미라는 2001년 스코틀랜드 아우터헤브리디스(Outer Hebrides)에서 발견한 것으로, 생후 3개월 된 영아, 젊은 여성, 40대로 추정되는 남녀의 유골로 추정됐다.

당초 연구팀은 유골 한 구를 조사한 결과 여성의 것으로 추정했지만, 최근 맨체스터대학 연구팀이 방사선탄소를 이용한 연대측정과 DNA검사를 실시한 끝에 유골 한 구에서 여성의 골반과 남성의 머리가 마치 원래부터 한 몸이었던 것처럼 매장됐다는 사실을 밝혀냈다.

이렇게 조합된 미라들은 청동기시대 매장 방식처럼 대부분 웅크린 형태로 발견됐다.

연구를 이끈 영국 셰필드대학교의 고고학전문가 마이크 파커 퍼슨 박사는 “각각의 미라에서 날카로운 것에 몸이 절단된 흔적들을 발견했다.”면서 “한 사람의 모습 같지만 사실은 신체 일부분들이 조합돼 하나의 미라가 된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신체 부위가 조합된 미라들은 서로 혈통관계를 가지고 있으며, 페루 인근에서 발견되는 유골들과 비슷한 점을 보인다.”고 덧붙였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이들 미라의 뼈에서는 시간이 지날수록 탈염(염분이 제거)된 흔적이 나타나며, 이는 미라로 만들기 전 습지에 시신을 몇 년간 묻어뒀다가 꺼내는 매장 풍습 때문인 것으로 추측된다.

전문가들은 이 미라가족의 독특한 매장방식은 부족사회에서의 특이한 행동양식을 나타내며, 이번 연구가 선사시대에 영국에 살았던 사람들의 삶과 죽음을 재정비 할 수 있는 기회가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댓글을 남기시려면 로그인 해주세요
댓글 :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