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략게시판

Lv. 79학생군사학교 가입된 패밀리가 없습니다. 작성자 게시물 더보기
무기를 강화 할때 보면 명중률 항목이 있습니다.
그런데 명중률을 올리면 체감상 느낌이 오지 않는 경우가 많습니다.

왜냐하면 명중률 항목은 가시적으로 보이는 것이 아니기 때문입니다.
중국에서 나온 자료에서도 명중률을 올렸더니 집탄률에는 큰 차이가 없었더라 라고 나온 이유도 그렇습니다.
그래서 대부분은 명중률을 찍을 바에 반동을 찍습니다.


이론 1 : 명중률에 대한 개념은 바로 히트박스죠.
히트박스는 남캐와 여캐는 같지만, 눈에 보이는 모습이 다를 뿐이죠.
(이는 cl_minmodels 1 로 해주면 여캐든 남캐든 전부 GIGN이나 엘리트요원으로 보일겁니다)

하지만, 키가 아주 큰 데이모스의 경우에는 히트박스가 조금 다릅니다. 
동일한 히트박스 면적에 데이모스 키에 맞춰서 거리만 늘어나면서 
그 사이사이에 공백이 발생해서 일부는 맞지 않는 현상이 발생했습니다. 
환기통 속의 게이스텝이 가장 대표적인 예겠죠.
 
환기 안에서 좌우 키와 마우스를 돌렸더니 
데이모스의 일부분이 환기통 밖으로 삐져나오기도 하다보니 히트박스도 같이 삐져나가게 됩니다.
그래서 운영진은 부득이하게 전체적으로 히트박스의 크기를 늘려서 환기통에서도 잘 맞도록 보정했죠.

위의 예 처럼 히트박스 밖에서는 데미지 판정을 받지 않아 빗나갑니다.

그런데 여기서 무기에 따라 히트박스 크기가 달라집니다.
어떤 무기는 제대로 쐈고, 집탄률은 좋은데 이상하게 안맞는 느낌이 있고, 
어떤 무기는 집탄률은 별로지만 이상하게 뽀록이 잘 터지는 느낌이 있습니다.

전자는 명중률이 낮은 대신 반동이 약한 케이스고,
후자는 명중률이 높은 대신 반동이 센 케이스입니다.

즉 명중률이 높은 무기일 수록 히트박스의 크기가 커지고, 데미지 판정이 잘 들어감을 알게됩니다.
명중률이 100%인 AWP는 대충 쏴도 어느정도 맞는 것도 그렇습니다.
한 방 한 방이 중요하다보니 명중률이 낮으면 너무 안맞아서 안 쓸 거기 때문이죠.

대신 AWP의 반동은 매우 강합니다. 일반 소총이나 다른 저격 소총에 비해서 말입니다.
무빙샷이나 점프샷을 해보면 알겁니다. AWP를 점프해서 쏘면 총알이 이리로 튀고 저리로 튀고 그렇습니다.
(가장 잘 알 수 있는 무기가 썬더볼트죠 점프해서 쏘면 파란 잔상이 엉뚱한데로 튀죠)

더군다나 반동이 더욱 강력한 50구경은 시야 밖으로도 총알이 튈 수 있을 겁니다.
오리지날 모드라면 그런 현상이 두드러지겠지만, 
시나리오모드는 모드 보정을 받아서 화면 흔들림은 그대로지만, 집탄률이 아주 좋아집니다..

물론 돌격소총의 경우에는 집탄률이 좋으면 대체로 상점에 표기된 명중률도 높아집니다.
집탄률이 좋아야 그만큼 맞출 확률이 커지기 때문이죠.
그러나 집탄률을 담당하는 항목은 반동입니다.

따라서 명중률을 시험 하는 방법은

먼저 표적의 경계선 부위를 맞춘 다음,
조금씩 옆으로 빗맞춰보면 됩니다.

먼저 경계선 부분이 맞춰진다면 경계를 벗어나면서 맞추면 되고,
맞춰지지 않는다면 경계선 안쪽으로 들어가면서 맞추면 됩니다.

옆으로 빗맞췄는데도 데미지 판정이 들어갔다면 명중률이 좋다고 볼 수 있고,
표적을 맞췄는데도 데미지 판정이 제대로 들어가지 않았다면 명중률이 좋지 않다고 볼 수 있습니다.


하지만 히트박스 크기는 크게 들여다 봐야 알 수 있기 때문에 명중률이 조금 크던 작던 
히트 박스 크기에 큰 차이가 보이지 않을 수 있습니다. (미세하게 변함)



이게 첫 번째 이론입니다.


두 번째는 총을 처음 쐈을때 중앙 점에 맞는 빈도를 보는 경우가 있습니다.

초탄이 중앙에 잘 맞을 수록 명중률이 높다고 볼 수는 있습니다만, 
기관총 같이 장탄수가 많은 총에는 큰 의미가 느껴지지 않는데다,
(기관총은 초탄도 막 튀죠)

클래식 총으로 볼때 명중률이 더 높다고 나오던 M4(88%)보다 AK47(83%)이 초탄이 더 잘박히기는데다,
인벤토리 정보에선 명중률이 70%도 안되는 M950(67%)은 이동 중에도 초탄이 매우 잘 박히기 때문에 
별 설득력이 없긴 합니다. 

물론 명중률이 가장 낮다던 데저트이글(45%)이면 그럴 수 있겠지만, 
문제는 반자동 저격총은 명중률이 60%대에 분포하지만, 의외로 잘 맞는다는 점을 볼 수 있습니다
(명중률은 반동과 어느정도 상관관계가 있기는 하겠지만 줌을 당긴채로 얼마나 잘 맞는냐로 따질 수도 있습니다)

만약 이것이 맞다면, 일정 거리에서 총을 처음 쏠때 어디로 박히느냐로 시험하면 될겁니다.

먼저 바로 앞에서 표적에 총알 한 발 박습니다.
그 다음에 일정 거리에서 에임을 처음에 박은 총알에 댄 후에 첫 발만 끊어 쏘면 됩니다(일점사).
(연사가 좋은 총은 첫 발을 끊기 쉽지 않을 겁니다.)
그러면 가장 먼저 쏜 총알과의 미세한 거리에 따라 명중률이 좋고 나쁨을 판단할 수 있을 겁니다.



(예 : M4A1)




세 번째 이론은 수치적으로 계산한 값일 수도 있습니다.

그 예가, 

볼트액션 저격총은 데미지가 쎄고 무겁고, 반동이 큰 대신 연사속도 개념은 보.지 않기 때문에, 
명중률이 매우 높다고 치고,

미니건(54%)의 경우는 기관총 중에선 데미지는 상위권에, 무겁고 반동은 좀 낮지만, 연사력이 매우 빨라서 
명중률이 낮게 나오고,

데저트이글(45%)의 경우는 권총 중에서 데미지가 가장 강력하고, 가볍고, 반동이 세고, 연사력이 어느정도 있어서 
명중률이 매우 낮고,

싸이클론(100%)은 데미지가 약하고, 가볍고(사실 모든 권총이 무게가 85%), 연사력은 매우 빠르지만, 
반동이 전혀 없어서 명중률이 매우 높다고 봅니다.

TMP(73%)의 경우는 데미지가 매우 약하고, 가볍고, 연사력이 빠르고 반동도 어느정도 있어서 명중률이 좀 낮습니다.

여기서 무게 수치도 상당히 주관적이라는 사실을 잊어서는 안됩니다.
대표적인 예가 장전된 무게가 같은 스카우트(90%)와 레이저 미니건(76%)이 대표적인 예입니다.

레이저 미니건(97%)의 경우는 연사력이 매우 빠르고, 가볍지만, 반동도 매우 적어서 명중률이 높게 나옵니다.

즉 명중률을 가장 크게 작용되는 것은 데미지,반동,연사,무게와 함께, 총의 종류도 어느정도 가리는 것을 알게 됩니다.

그러나 문제는..
글록(67%)의 경우는 데미지는 어느정도 있고, 반동이 적고(100%), 연사도 어느정도 되고, 무게도 가볍지만, 
명중률이 높지 않습니다.

그래서 글록 같이 예외가 생기기 때문에 

네번째 이론을 통해 반동과 명중률을 구분할 수 있게 되는데,
그 이유는 녹색 원 안에 총알이 박힐때는 잠깐 반동이 느껴지지 않는다는 점입니다.
(물론 사격을 멈추면 원래자리로 내려가겠지만)

반동은 총을 연사할때 전반적으로 보이는 T자 모양의 크기를 의미하고,
명중률은 T자 모양의 끝 부분에서 총알이 모여있는 정도를 생각할 수 있게 됩니다.

 
(반동 0강의 MG3 골드)

(반동 5강의 MG3)

두 개를 비교해보면 반동을 올려서 T자는 확실히 줄은걸 알 수 있고, 녹색 원은 큰 차이가 없음을 알게됩니다.
(만약 명중률을 올렸다면 녹색원의 크기가 줄어들 겁니다)

 

그러나 MG3 보다 반동이 더 세고 명중률이 훨신 높은 길보아 카빈(76%/89%)의 경우를 봐서는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습니다.

 
(라이트닝 AR-1(좌) / F2000(우))

게다가 동일한 명중률(91%)에 반동이 단 1% 밖에 차이가 나지 않는 기타총(82%)과 F2000(83%)를 비교해 보는데,
오히려 반동이 라이트닝 보다 낮아야 할 F2000이 T자 크기가 더 컸습니다. (거리는 둘 다 동일함)
물론 T자 끝에 모여있는 총알의 분포는 둘 다 비슷했습니다.
물론 연사력은 F2000이 더 빠르고. (기타총 89% / F2000 91%)
무겁습니다 (78% / 71%).

오히려 길보아 카빈과 비교해보면 명중률이 2% 밖에 차이가 안나는데 녹색원 크기가 확실히 줄어들었습니다.


그렇다면 특이케이스인 미니건류는 어떨까요?


(레이저 미니건 / M134)

미니건류는 전반적으로 반동이 매우 낮은 축에 속합니다. (95% / 96%) 기다가 반동 패턴도 랜덤입니다.
반면 명중률은 매우 큰 차이를 보임에도 (95% / 54%) 전반적인 모양은 큰 차이를 보이지 않습니다.
그 이유가 M134는 선딜레이가 있다 라는 이유를 들 수 있습니다만,

그렇다면 초탄을 알아볼 수 있는 프레데터(명중 58%)는 어떨까요?

 

난사할때 패턴은 차이가 없지만, 초탄이 막 튀는걸 알 수 있습니다.
물론 레이저 미니건도 초탄이 잘 박히는 편이 아닙니다.

 



이같이 예외사항이 나오다보니,


다섯번째 이론은 운영진의 주관적인 수치로 볼 수도 있습니다.
(말 그대로 마음 대로 정한 값입니다)
대표 적인 예가.. 실제 무게는 각각 다르겠지만 모든 권총의 무게 수치가 전부 85%입니다.
이동속도가 느리다고 정평났던 게이볼그(무게 67%)보다 더 낮은 스컬5(무게 65% 명중 64%), 
소총 2자루를 들고다니는 스컬4(무게 73% 명중 62%)가 대표적인 예겠습니다.
(특히 스컬 5는 무게 수치로 보면 미니건이나 M2를 제외한 나머지 기관총(스컬 7을 포함, 70% 초반) 보다도 낮습니다)


(그리고. 건데에선 2랩 무기인 코만도(62%) 보단 G3(55%)가 훨신 잘 맞습니다, 심지어 노줌으로 해도 말이죠
그래서 명중률 항목은 참 미스터리 합니다)

그래서 무기 스팩 그레프를 다시 고칠 필요성이 있습니다.

(참고로 MG3는 무조건 반동을 찍을 수 밖에 없겠군요)
추천 : 12
댓글을 남기시려면 로그인 해주세요
댓글 : 33
  • 이딴거 필요없고 손만 ** 좋으면됨 Lv. 1모바일에서 등록가유사 2017.05.04
  • 이글을 다른곳에2번올리고F2를 누르면 캐시,포인트가10000000000000000000 Lv. 1zombiride 2017.04.21
  • 오 명확하고 멋진 에임과 초탄 조준점과 집탄율 설명 감사합니다. Lv. 1jentapston 2017.04.09
  • 고생하셨내요.. Lv. 1은류동 2017.03.31
  • stg 같은경우 명중3 강이 더 튄다고하는데 그건뭐 오류일지?? Lv. 1어시스트만합니다 2017.03.29
  • 명중률3칸 반동2칸만채우면 거의 ㅋㅋ 라이칸줌수준 Lv. 1케드학교학생회장 2017.03.04
  • 니 인생좀 고찰해라 Lv. 1밀어버려땅크로 2017.02.25
  • 분석력 오지네 ㄷㄷ Lv. 1BourneJuly 2017.02.23
  • &#49465&#49828&#54616&#44256싶&#45796 Lv. 1모바일에서 등록카후우치노 2017.02.22
  • 이건 진짜입니다 이걸 다른곳에5번 올리고 F5키를누르면 초월무기 6개와 모든템를줍니다 Lv. 1좀비학살자4790 2017.02.18
  • 이건 진짜입니다 이걸 다른곳에5번 올리고 F5키를누르면 초월무기 6개와 모든템를줍니다 Lv. 1좀비학살자4790 2017.02.18
  • 여태까지 나만 맨날 여캐 총알 잘 안맞는다고 지1랄 떤거야? 개1시1발 쥐구멍 좀 Lv. 1쿠로키미치 2017.02.14
  • ㅋㅋ재밌네요 연구정신 배우고가요 Lv. 1갓란티스 2017.02.10
  • 스팀카스 깔아서 어찌해보면 cfg 웨폰데이터 파일 잇는데. 열어보면 총기데이터 대충알수있음 Lv. 1도토리x다람쥐 2017.02.03
  • 다만, 운영진이 가라스펙 써놓은건 사실. 실제 총기성능 데이터는 저렇게 단순하지 않음 Lv. 1도토리x다람쥐 2017.02.03
  • 히트박스는 맞췃음. ak 가 m4보다 데글이 ak보다 잘맞는건 사실임 Lv. 1도토리x다람쥐 2017.02.03
  • 밀집도를 뜻하는 것임. Lv. 1도토리x다람쥐 2017.02.03
  • 반동을 0으로 가정했을떄 일정한 원안에 분포되는 탄착군이 조준선에 일치할 확률 Lv. 1도토리x다람쥐 2017.02.03
  • 작성자가 말하는, 히트박스는 탄종에따라 차등이생기며 명중률은 Lv. 1도토리x다람쥐 2017.02.03
  • 이건 진짜입니다 이걸 다른곳에5번 올리고 F5키를누르면 초월무기 6개와 모든템를줍니다 Lv. 1맛있는좀비임 2017.01.31